정기훈 기자
정기훈 기자

 

총선이 시시각각 다가오면서 민주노총을 찾는 진보정당의 발걸음도 바빠졌다. 민주노총은 새 집행부가 임기를 시작하는 다음달부터 총선 대응을 강화할 방침이다. 다만 거대 양당이 선거제도를 병립형 비례대표제로 되돌리면 사실상 진보정치가 발 디딜 틈이 없을 것이란 어두운 전망도 나온다.

18일 민주노총을 찾은 윤희숙 진보당 상임대표는 신당 방식의 진보연합을 제안했다. 정의당의 선거연합정당에 대한 맞대응으로 풀이된다. 윤 상임대표는 “최소 진보가 아닌 최대 진보연합”을 강조하면서 진보정당과 노동, 시민사회 영역을 한데 아우르는 모델을 제시했다.

이보다 앞선 4일 민주노총을 방문한 김준우 정의당 비상대책위원장은 선거연합정당 방식의 총선 대응을 요청했다. 제3지대 형성과 관련해 내부 갈등이 지속 중인 상황에서 정의당 플랫폼을 ‘통합’으로 강조하는 구도를 제안한 셈이다.

정기훈 기자

두 정당의 제안은 어떤 식으로든 총선을 앞두고 진보정당의 연대가 필요하다는 공통의 분석이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두 당은 최근 잇따른 선거에서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특히 원내 진보정당을 대표했던 정의당은 19대 대선 당시 6.17%를 었었지만 20대 대선에서는 2.37%를 얻는 데 그쳤다. 최근 강서구청장 선거에서는 이보다 낮은 1.83%를 얻었다.

민주노총은 올해 장기간 논의 끝에 내년 총선방침을 ‘열린 엔딩’으로 마무리했다. 그러나 위원장 선거를 거치면서 노동중심 진보연합정당을 공약으로 건 기호 1번 양경수 후보조가 당선해 진보통합 관련 동력을 남겼다. 올해 진보정당 연석회의에 참여하고 있는 민주노총은 양 위원장 당선자가 집행부를 새롭게 꾸미는 내년 1월1일부터 총선 대응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선거제다. 현재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내년 총선 방식을 합의하지 못한 상태다. 당초 국회는 국회의원 정수 확대를 포함한 선거제도의 비례성을 강화하겠다고 공언했지만 총선이 다가오면서 양당의 당리당략에 따라 병립형으로의 회귀와, 지금 수준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유지 등으로 쪼그라들었다. 어떤 식이든 진보정당은 불리하다. 특히 병립형으로 돌아가면 정의당이나 진보당 모두 원내 진입을 장담할 수 없는 조건이다. 진보정당과 노동·시민사회는 연일 비례성 강화를 요구하고 있지만 거대 여야는 움직이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선거제도 관련 대응을 오히려 높여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민주노총 한 관계자는 “선거제도에 따라 진보정당의 여러 논의가 무위로 돌아갈 우려도 크다”며 “연중 선거제도 관련 대응이 미흡했다는 평가도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