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 열렸던 국무총리와 회담에서 양대노총 목표는 대화의 틀을 확인하고 김대환 장관의 ‘진짜 모습’을 국무총리에게 보여주자는 것이었다. 결론부터 보면 전자의 목표는 실패했고 후자의 목표는 어느 정도 달성한 것으로 보인다.

대화 틀이라면 비정규법안 및 노사관계선진화 방안과 관련해 노사간 대화틀을 마련하는 것이었고 더 구체적으로는 이를 국무총리쪽에서 주관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비정규법안 노사 대화틀은 총리쪽하고만 의견접근을 이뤘고, 로드맵 대화틀은 총리쪽과도 큰 이견을 보였다. 총리가 주관하는 대화틀 방안 마련에도 성공하지 못했다.

대화틀을 마련을 위해 노동계가 채택한 대화전술은 ‘김대환 장관 퇴진 요구 원칙을 유지하되 회동자리에서는 이를 직접적으로 표현하지 않는 것’이었다. 실제 노동계는 이날 국무총리 앞에서 직접적으로 장관 퇴진을 거론하지 않았다. 어렵게 만든 대화 자리에서 장관퇴진과 관련해 국무총리실에 직접적인 부담을 주는 것은 피하자는 의도로 볼 수 있다.
이런 내부방침을 노동계는 미리 국무총리실쪽에 전달했으며, 아울러 회동 자리에서 김대환 장관은 발언을 가급적 자제해 줬으면 하는 의사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회동 의제가 비정규법안으로 넘어가면서 ‘노사 간 대화 존중을 통한 국회 처리’가 아닌 ‘노사 의견 수렴을 통한 국회 처리’를 김대환 장관이 강하게 주장하면서 회동 분위기는 급속히 식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 국무총리쪽이 노사관계 선진화 방안과 관련해 노동부 장관이 참가하는 대표자회의를 제안하면서 양쪽 입장차만 확인하게 된 셈이다.

양대노총 관계자들은 “회동 도중 김 장관 발언과 총리실쪽의 성급한 대응이 판을 깼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국노총 한 관계자는 “김 장관이 나오는 한 노동계와 대화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총리에게 보여준 데에 만족하자”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