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자동차산업 구조개편의 밑그림조차 그리지 못하고 있어요. 무엇보다 정부의 움직임이 없죠. 당장 쌍용차 문제는 노사자율이라는 이름 속에 사실상 방치되고 있고요.”
유원일(52·사진) 창조한국당 의원은 “정부가 과거의 틀에 갇혀 있다”며 “세계 자동차산업의 구조개편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공적자금을 투입해 GM 국유화에 나선 미국 정부를 사례로 들었다.

유 의원은 최근 쌍용차를 포함한 자동차산업의 구조개편에 적극 나서고 있는 국회의원 가운데 한 사람이다. 정부주도의 자동차산업 구조개편을 주장하고 있다.
유 의원은 “정부에는 자동차산업 미래경쟁력 확보에 대한 전략과 청사진이 없다”고 진단했다. 유 의원은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정무위 소속기관인 한국산업은행에 대해서는 쌍용차에 공적자금을 투입하라고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산업은행은 노사 문제니까 개입하지 않겠다고만 합니다. 그것이 어떻게 노사문제입니까. 국가기간산업의 문제는 정부의 문제입니다.”
유 의원은 ‘무개입’으로 일관하고 있는 정부의 태도의 이면에는 과거의 ‘사람 자르기식 구조조정’과 해외매각이 전제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유 의원은 “쌍용차와 GM대우차에서 보듯이 해외매각은 이미 실패한 정책으로 판가름 났다”며 “해외매각은 자동차산업 구조개편에서 고려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해외매각을 잘못한 정부에 원죄가 있습니다. 그런데도 정부는 또다시 해외매각하겠다는 생각밖에 없어요.”

유 의원은 특히 사람 자르기식 구조조정의 부작용을 우려했다. 2001년 옛 대우차의 선례처럼 ‘일방적 정리해고 추진→노사 간 충돌→경찰력 투입’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유 의원은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숙련공을 지키는 구조조정을 진행하자고 주문했다.

미래자동차산업의 고부가가치를 위해서 가장 필요한 요소로 숙련인력을 꼽았다.
유 의원은 “고통분담이 담긴 금속노조 쌍용자지부의 제안에 정부가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지부의 이른바 ‘쌍용차 모델’은 △총고용 보장 △공적자금 선제 투입 △‘5시간+5시간’ 주간연속 2교대제 시행 등이 담겨 있다.

특히 GM대우차와 쌍용차를 합해 국유화하자고 주장했다. GM대우는 중·소형차 기술력과 하이브리드 기술력을 강화하고 쌍용차는 클린디젤 기술력을 강화하면 경쟁력이 생긴다는 것이다. 이 밖에 정리해고를 강행하고 있는 쌍용차 법정관리인들에 대해서는 “무책임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유 의원은 “쌍용차 법정관리인들은 회사의 정상적인 운영과 회생을 고민하지 않고 있다”며 “갈등만 유발시키는 사람들은 차라리 그만두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정부가 항상 내세우는 일자리 만들기·경제 살리기는 고용을 유지하는 것에서 출발해야합니다. 있는 사람 다 자르는 상황에서는 일자리 만들기를 말할 자격도 없습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