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개혁공동행동2050과 진보4당이 지난 1일 오전 국회 본청 계단 앞에서 병립형 비례대표제를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자료사진 정의당>

더불어민주당에서 돌출된 “내년 총선 200석”론이 진보정당들에도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진보정당 일각에서는 민주당이 이끄는 선거연합정당을 염두에 두고 고민에 빠졌다.

‘반윤 정당’ 만들어지나

<매일노동뉴스>가 7일 복수의 진보정당 관계자들을 취재한 결과 진보정당들은 ‘반윤의 빅텐트’가 쳐질 것이라고 가정하고 있다. 수도권 사수에 사활을 건 더불어민주당과 원내진입을 목표로 하는 진보정당들 간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 ‘지역구는 민주당, 비례대표는 진보정당’을 뽑아 왔던 기존 판을 다시 짤 것이라는 전망이다.

범진보 진영의 지지를 수용할 플랫폼 정당이 예상된다. 다만 2020년 총선 때 민주당이 비례대표를 파견해 만들었던 더불어시민당 모델은 위성정당 비판에 직면할 수 있어 열린민주당과 같은 ‘자매정당’ 형상을 취할 것이라고 본다.

자매정당에 들어갈 정당들로는 기본소득당과 열린민주당, 정의당 탈당파인 사회민주당이 거론된다. 기본소득당은 용혜인 의원이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위원장을 맡고 있는 기본사회위원회에서 자문단장을 맡고 있다는 점 때문에, 사회민주당은 천호선 사무총장이 민주당과 가깝다는 점 때문에 거론된다.

문제는 진보정당들의 입장이다. 정의당이 진보정당들을 상대로 선거연합정당이라는 플랫폼 정당을 만들겠다고 선언한 상황에서, 함께하겠다고 밝힌 녹색당과 입장을 밝히지 않은 진보당 등이 들어갈 수 있다. 두 정당은 지난 총선에서  '민주당이 구상하는 위성정당'에 합류 의사를 밝혔으나 민주당이 거부하며 구상에 함께하지 못했다. 두 당이 ‘빅텐트’에 참여하게 되면 정의당은 선거연합정당을 이야기하고도 ‘나홀로 선거’를 치러야 한다. 정의당 관계자는 “(반윤 빅텐트는) 원내정당 진입이 목표인 녹색당과 진보당에게는 매력적일 수 있다”고 전했다.

녹색당은 ‘반대’, 진보당은 ‘함구’
정의당 세 번째 권력은 ‘3지대 텐트’

정의당 해체 후 재창당을 요구해 왔던 ‘세 번째 권력’은 ‘제3지대 텐트론’에 무게를 두고 있다. 이른바 ‘금태섭 신당’을 포함해 향후 발족이 예고된 ‘이준석·유승민 신당’ 등과도 제3지대를 구축하겠다는 입장이다. 세 번째 권력 관계자는 “모든 방안을 열어두고 있지만 여기 구성원들은 제3지대 빅텐트를 구상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밝혔다.

녹색당은 ‘반윤 텐트’ 구상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확실히 했다. 선거제도개혁연대 대표이기도 한 김찬휘 녹색당 대표는 “민주당이 빅텐트를 치려는 생각 자체가 위성정당의 변형된 사고방식”이라며 “그런 식의 연합정치에는 참여하고 싶은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녹색당은 현재 선거제도인 준연동형 비례대표제하에서 위성정당을 금지한다면 연합정치를 할 수 있다고 본다. 김찬휘 대표는 “준연동형이 존재한다고 하면 정당한 지지율을 얻은 정당들이 충분한 의석을 더 얻게 되고, 그렇다면 연합정치를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조성된다”고 말했다.

진보당은 “현재 총선 전략 논의를 포괄적으로 하고 있는 상황이라 답변을 드릴 내용이 없다”고 밝혔다.

민주당 반윤 텐트 무산시 병립형 찾을 듯

물론 민주당이 병립형 비례대표제로 가게 된다면 선거연합정당은 의미 없는 가설이 된다. 모든 가능성은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염두에 둔 시나리오이기 때문이다. 병립형 비례대표제로 돌아가게 되면 300석 전체에 정당득표율을 연계하는 연동형 비례대표제와 달리 비례대표 47석에 대해서만 정당득표율을 연계하기 때문에 진보정당 의석수가 크게 줄어든다. 현재 민주당 지도부는 병립형 비례대표제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밝히지 않은 상태다.

진보정당들 내에 분위기는 갈린다. 김찬휘 녹색당 대표는 “이재명 대표는 묵묵부답하고 민주당 의원들을 상대로 병립형 반대 서명을 받았을 때는 55명만 서명했다”며 “적어도 의원 100명 이상은 병립형에 찬성한다는 것이라 불안하다”고 말했다. 다만 정의당 관계자는 “기득권을 놓기 싫다는 이유로 자신들이 비판하며 폐쇄했던 길로 다시 돌아가기에는 부담이 너무 크다”봤다.

민주당이 이 문제에 대해 확실히 하지 않은 이유는 ‘반윤 텐트’를 확신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정의당 관계자는 “‘반윤 텐트’가 현실화되면 현행대로 갈 수 있지만, 합의가 안 된다면 민주당 입장에서는 비례대표 의석까지 모두 차지해야 하기 때문에 병립형을 쓸 것”이라고 예상했다.

베일은 12월12일부터 내년 1월10일 사이에 걷힐 전망이다. 12월12일은 내년 총선 예비후보자 등록일이다. 전례에 비춰 볼 때 그때까지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에서 선거제도와 선거구를 마련하지 않았다는 비판이 일며 논의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21대 총선은 39일 전, 20대 총선은 42일 전에야 선거구가 확정됐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