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운수노조

공공부문 노동자들이 민영화 중단과 공공성 확대 등을 촉구하며 이달 중순부터 11월까지 공동파업을 한다. 주요 공공기관 노동자들이 정부에 공동의 요구를 내걸고 파업을 하는 것은 박근혜 정부 이후 7년 만이다.

공공운수노조(위원장 현정희)는 5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부는 철도·건강보험·연금·의료·에너지·교통·돌봄·통신 등 공공서비스를 민영화·영리화하고 있다”며 “윤 정부 출범 이후 최대 규모의 공공부문 파업이 코앞에 다가온 상황인데 이를 피하고 싶다면 노정교섭에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이달 중순부터 11월까지 3차례에 걸쳐 대규모 공동파업을 하기로 했다. 노조 산하 철도노조, 의료연대본부 서울대병원분회, 건강보험공단노조, 부산지하철노조, 서울시사회서비스원지부 등 주요 공공기관 사업장 노동자들과 공공서비스를 담당하는 비정규 노동자들이 합법 파업을 위한 절차를 밟기 시작했다. 철도노조와 건강보험노조의 경우 이미 쟁의권을 확보한 상태다.

현정희 위원장은 “주요 공공기관 노동자들이 공동의 요구를 내걸고 단일한 대오를 꾸려 정부에 맞서 벌이는 ‘대정부 파업’은 2016년 이후 7년 만”이라며 “윤석열 정부가 노정교섭을 거부하고 민영화 강행을 통해 공공성을 파괴하려 한다면 25만 조합원들은 민영화를 막는 파업, 공공성을 늘리는 파업, 모두의 삶을 지키는 파업을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노조는 2016년 9월 박근혜 정부가 추진한 공공기관 성과연봉제 및 퇴출제에 반대하며 파업을 한 바 있다. 당시 참여 인원은 약 6만3천명이다.

노조는 민영화 중단과 사회공공성 확대를 비롯해 △임금격차 축소 및 실질임금 인상 △직무·성과급제 폐지 △인력충원 및 공공부문 좋은 일자리 확대 △노동개악·노조탄압 중단 등을 요구했다.

재계는 공공운수노조 파업을 불법으로 규정하고 정부에 엄정대응을 요구했다. 한국경총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공공운수노조의 이번 파업은 민영화 저지, 직무·성과급제 폐지, 노동개혁 중단 등을 내세운 불법파업”이라며 “정부는 불법파업으로 인해 국민 생활의 불편과 국가 경제의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적이고 엄정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