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노총

통합공무원노조와 교사노조연맹이 속한 공공노총과 한국노총이 통합한다. 올해 2월부터 조직통합을 추진한 두 조직은 5월1일 통합조인식을 열기로 합의했다. 그동안 한국노총이 상대적으로 조직화에 고전했던 공무원·교사노조가 대거 합류할 경우 공공부문 노정교섭도 지각변동이 일 전망이다.

“노동운동 판도 바꾸자”
노조 사회적 책임 높이는 ‘사회연대’ 공감대

한국노총과 공공노총은 지난 19일 1차 통합추진위원회 회의를 열고 5월1일 조직통합 조인식 개최와 이를 위한 제반 절차에 합의했다고 22일 밝혔다. 격주로 통합 논의를 위한 회의를 열 예정이다.

두 조직이 본격적으로 교류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부터다. 같은해 9월3일 한국노총과 공공노총은 “노동운동의 판도를 바꿔 보자”며 ‘노동운동의 혁신과 사회적 책임 실천을 위한 실천연대협약’을 체결했다. 당시 이들은 직접적으로 ‘통합’을 거론하지 않았지만 노동계 안팎에서 통합 가능성이 제기됐다. 양측은 협약 실천을 위해 실행위원회를 구성하고 노동운동 전망을 공유하며 거리를 좁혔다. 그러다가 지난달부터 본격적으로 ‘통합’ 관련 사업이 추진됐다.

이충재 공공노총 위원장은 “노동운동이 조직경쟁을 넘어 미래세대까지 아우르는 사회운동으로 전환돼야 한다는 절박함에서 한국노총과 통합을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현재 노동운동의 이념과 방식이 변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가 확산되면서 통합 논의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한국노총 ‘사회적 대화’ 플랫폼에
공무원·교사 목소리도 탑재

공공노총은 10만명 규모다. 교사노조연맹이 3만8천명, 통합공무원노조가 2만9천명, 지방공기업연맹이 9천명으로 주로 공무원·교사가 조직돼 있다. 공공노총에만 조직돼 있는 세대별·직종별노조도 있다. 50세 이상 고령노동자가 가입할 수 있는 연금유니온이 3만5천명으로 큰 규모를 자랑한다. 1인 미디어·유튜브 창작자 등이 가입한 글로벌스마트미디어노조도 2천여명 규모다. 올해 초 코로나19로 직격탄을 맞은 소상공인 조직화를 위해 자영업자노조가 출범해 공공노총에 들어갔다.

두 조직 통합은 공무원 분야에서 먼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통합공무원노조와 한국노총에 최근 가입한 광역연맹의 통합 논의가 상당 부분 무르익은 상태다. 5월1일 통합조인식 직후 연합단체 변경을 위한 규약 개정이 이뤄질 가능성이 크다. 교사연맹은 6월 한국노총회관으로 이전한 뒤 내부적인 절차를 밟을 것으로 보인다. 연금유니온이나 스마트미디어노조 등은 사회연대노조(가칭) 같은 형태로 한국노총에 직가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상진 한국노총 조직확대본부장은 “그동안 공무원·교사노조가 시간외수당이나 연금과 정년 등 여러 법·제도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으며 정부와 국회를 상대로 한 협상에서 한계를 보였다”며 “한국노총은 경제사회노동위원회와 더불어민주당 노동존중실천의원단 같은 탄탄한 사회적 대화 플랫폼이 있기 때문에 사회적 대화의 새로운 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