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균형발전정책 중 하나인 ‘수도권 투자규제’가 기업의 지역이전보다는 해외로 내몰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같은 현상에 따라 제조업 양극화 현상을 부추기고 있는 만큼 국내산업 보호를 위해 규제완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노사정위원회 제조특별위원회의 용역으로 중앙대 도시 및 지역계획학과가 연구해 내놓은 ‘수도권 공장 신증설 규제효과에 관한 연구 보고서’(책임연구자 허재완 중앙대 교수)에 따르면 수도권 내에서 5년 안에 공장이전을 준비하는 공장은 조사대상 131개 기업 중 32.1%인 42개에 이르며, 이 가운데 34.9%가 해외로 이전할 것이라는 답변을 내놨다.

이는 같은 수도권내 이전(37.2%)보다는 적은 수치지만 지방으로 이전하겠다는 응답(23.3%)보다는 높은 것이다. 특히 해외이전을 준비하는 기업들은 그 사유로 수도권 규제(37%)를 가장 높게 꼽았다. 그 다음으로 해외시장 개척(21%)과 인건비 절감(2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역으로 공장을 이전하는 주된 이유는 부지협소(45%)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수도권 규제라고 답한 기업은 22%에 불과했다. 또한 이같은 결과는 응답순서에 따라 점수를 두어 가중치를 부여할 경우 더욱 뚜렷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참조>

이에 따라 보고서는 “결과적으로 기업의 지방이전을 유도하고자 하는 수도권 규제의 원래 목적과는 달리 수도권 규제가 기업의 지방이전보다는 해외이전에 조금 더 큰 영향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수도권 규제가 수도권 기업들의 해외이전에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이는 결과적으로 제조업공동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