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하철노조가 16일 부분파업 전환을 결정한 것은 88일간의 장기파업으로 조직피로도가 누적되면서 일단 ‘숨고르기’의 필요성을 느낀 때문으로 보인다.
 
노조 파업은 합법파업이라는 잇점을 앞세워 1,000여명 가운데 900여명이 참가했던 초기의 높은 참가율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수송분담률이 낮은 대구지하철 특성상 큰 효과를 내지는 못했다. 게다가 파업이 장기화되면서 최근에는 파업참가자들이 520여명으로 줄어들었고 무노동무임금에 따른 조합원들의 생계문제 등이 노조에게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했다.
 
노조 관계자는 “낮은 수송분담율로 총파업과 거점파업 형태의 투쟁전술이 사실상 실효성이 없어졌다”며 “실질적인 타격을 줄 수 있는 전술을 고민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파업이 석달 가까이 접어들면서 힘든 상황이었던 것도 사실”이라며 “대오가 그나마 유지되고 있을 때 현장투쟁 형태의 전술로 전환하는 것이 낫다는 판단”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노조가 전면파업을 중단했지만 쉽사리 교섭이 진전되기는 힘들 것으로 예상되며 오히려 사태의 장기화 가능성에 무게가 더 실리고 있다.

공사 관계자는 “일단 성실하게 교섭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노조가 주장하는 21일주기 3조2교대 형태는 절대 받아들일 수 없을뿐더러 업무복귀신고서 작성을 거부한 것은 사실상 정상업무 의사가 없는 것 아니냐”며 “이런 상태에서 열리는 교섭은 의미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에 따라 본교섭 재개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업무복귀신고서를 놓고 마찰을 빚은 것처럼 오히려 현장에서 노사간 치열한 신경전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노조가 부분파업으로 전환한 이유 가운데 장기전을 포석에 두고 있다는 점도 사태 장기화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노조 관계자는 “쉽게 해결될 것으로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투쟁전술 전환도 사태 장기화를 염두에 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 관계자는 “현장투쟁으로 전환하고 양보할 것은 다 내놓은 만큼 포괄적인 협의는 더 이상 없을 것”이라며 “구체적인 내용과 즉각적인 합의 이행이 보장되는 협상타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