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응급환자가 응급실을 찾아 헤매다 숨진 사건의 재발을 막기 위해 대구시가 내놓은 '책임형 응급의료체계' 도입 대책이 반쪽짜리에 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역 노동계와 시민·사회단체는 응급실 과밀화 문제 해소대책을 주문하고 있다.

대구경북보건복지단체연대회의는 7일 성명을 내고 “응급실 뺑뺑이는 완전히 멈추고 최단 시간에 응급실로 직행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정착돼 안타까운 죽음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기를 기대한다”며 추가 대책을 주문했다.

대구시는 지난 3월19일 10대 학생이 병상을 구하지 못해 응급차에서 2시간여를 전전하다 숨진 사건을 계기로 응급의료기관 환자 수송대책을 추진했다. 지난 2일 환자 이송에서 진료까지 응급의료체계 전 과정에 대응하는 ‘대구 책임형 응급의료대책’을 내놨다. 초응급·중증·경증 등 환자 상태에 따른 대응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주 내용이다.

연대회의는 기대와 우려의 입장을 동시에 냈다. 이들은 “응급의료대책이 현장에서 실행되는 지침으로 작동해 응급실 뺑뺑이가 멈추기를 기대한다”며 “최단 시간에 응급실로 직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정착해 안타까운 죽음이 더는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고 밝혔다. 3월 안타까운 죽음 이후로 연대회의가 대구시에 제안한 응급실 과밀화 해소 대책은 이번에 빠졌다. 연대회의에 따르면 대구시는 응급실 사망비율과 외상사망비율이 전국 17개 시도에서 가장 높다. 연대회의는 “대구시 책임형 응급의료대책은 대구지역 대학병원의 전국 최상위 응급실 과밀화를 해결하는 근본 대책이 될 수는 없다”며 “대구시는 지금이라도 응급실 과밀화를 해소하기 위한 제2대구의료원 건립 사업을 수용하고 추진하라”고 촉구했다.

연대회의에는 보건의료노조 대구경북지역본부·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 대구지역지부·공공연맹 대구의료원노조 등 대구지역 노동·시민·사회단체 9곳에 함께하고 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