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노동부
▲ 고용노동부

현대자동차 그룹사들이 협력업체를 비롯한 중소기업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산업안전 상생재단’을 출범했다. 이사장은 안경덕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맡았다. 현대차그룹 하청노동자들은 “상생재단을 만들 것이 아니라 원·하청 공동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만들어야 할 때”라며 “현장이 안전해지려면 현장 노동자의 목소리를 귀담아 들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재단은 16일 오후 서울 종로구 현대 계동 사옥에서 현판식을 개최했다. 재단은 현대차·기아·현대모비스·현대제철·현대건설·현대엔지니어링 6개사가 협력·중소업체의 안전관리를 지원할 목적으로 자금을 공동출연해 설립한 비영리 재단법인이다. 6개사는 원활한 재단 운영을 위해 내년부터 매년 50억원 이상을 재단에 출연할 계획이다.

재단은 국내 모든 제조·철강·건설업종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이행 의무 지원 △안전관리 컨설팅 △안전 전문인력 양성 △스마트 안전기술 도입 지원 등 다양한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올해 5월 퇴임한 안경덕 전 장관이 재단 이사장을 맡은 것에 대해 노동부는 “무보수 비상임이사인 만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의 퇴직공직자 취업심사 대상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안 이사장은 “최근 들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요구가 늘면서 안전은 그 무엇과도 타협할 수 없는 기업의 핵심 가치가 됐다”며 “재단은 중소기업 전반의 안전문화 확립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현대차그룹 하청노동자들은 상생재단이 만들어져도 현장 노동자의 목소리를 외면하면 중대재해는 계속 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서현수 금속노조 충남지부 비정규직지회 노동안전부장은 “전직 장관을 이사장으로 세워 상생재단을 만든다고 현장이 안전해지지 않는다”며 “하청노동자와 소통할 수 있는 원·하청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구성하고 실질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올해 1월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이후 현대차그룹에서만 9건의 중대재해가 발생했다. 현대건설·현대제철·현대비앤지스틸에서 각 2건씩, 현대차·현대엔지니어링·현대스틸산업에서 각 1건씩이 일어났다. 피해자는 대부분 하청노동자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