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동구에 위치한 인천의료원은 인천 공항·항만과 가장 가까운 공공병원이다. 8월 이전까지 공항이나 항만을 통해 입국한 신종인플루엔자 확진환자의 대부분이 인천의료원에 입원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인천의료원은 지방의료원 가운데는 드물게 음압시설이 돼 있는 격리병동을 갖추고 있다. 격리병동의 병상은 25개인데, 신종플루 환자가 대폭 늘었을 때 병실이 차서 환자가 대기해야 했다.

지난 21일 인천의료원 지부사무실에서 만난 김병철(43·사진) 보건의료노조 인천의료원지부장은 “신종플루는 최근 공공의료의 목적이 지방의료원에서 실현된 것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말했다.

인천의료원도 다른 지방의료원이 그렇듯 인력부족이 심각하다. 겨우 간호 6등급 수준을 맞추고 있다. 신종플루 환자가 급격히 늘자 의료진은 물론 대다수 노동자들이 연장근무에 돌입하고 휴일을 반납했다.

“처음엔 일반 종합병원과 대학병원들이 신종플루 환자를 진료하는 것을 꺼려했어요. 격리병동에 새로 인력을 투입시켜야 했는데 너무 부족했습니다. 모든 것을 감수하고 쉬지 못하는 한이 있더라도 이것만큼은 공공병원인 우리가 해야 한다는 자부심이 컸습니다.”
인천의료원 노동자들은 지난해 연차를 포함해 대부분 휴가를 사용하지 못했다. 인력이 부족해서다. 병원은 재정적자를 이유로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25명을 구조조정(명예퇴직)했다.

신종플루 유행 상황에서 공공병원의 역할을 수행한 인천의료원이지만 현재로선 의료공공성을 계속 이어 갈 수 있을지 예측할 수 없다. 지난해 2월부터 인천대와의 통합이 추진되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대는 국립대학법인 전환과 송도 캠퍼스 이전을 앞두고 의과대학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인천대는 의과대학을 설립하기 위해 대학 부속병원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의료원과의 병설통합을 고려하고 있다. 인천의료원도 지난 8월 ‘인천대-인천의료원 통합 추진안’을 이사회에서 의결했다.

김병철 지부장은 “인천대와 통합할 경우 인천의료원의 지역사회 공공의료기능이 약화될 것”이라며 “의료공공성을 위해 통합을 막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부는 인천지역 46개 시민·사회단체들과 함께 범시민연대 준비위원 구성을 준비하고 있다.

“통합안에는 의료원을 이용하는 지역 주민들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사실상 공공의료를 책임지며 열과 성의를 다해 근무하는 구성원들에게도 의견을 수렴한 적이 없습니다.”

현 의료원장은 시의 재정 압박에서 벗어나고 우수한 의료진을 확보하기 위해 통합을 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김 지부장은 “대학병원으로 전환될 경우 진료수가가 올라갈 수밖에 없다”며 “당장 지역 주민들에게 피해가 갈 것”이라고 우려했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만 보더라도 공공의료기관이 대학병원보다 시설과 의료진이 월등히 좋습니다. 환자들이 좋은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공공의료기관을 찾는 시스템이죠. 우리 공공병원도 의료급여환자·차상위계층·행려환자만 보는 것이 아니라 일반 시민들이 모두 찾아와서 공공의료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만들어야 합니다.”
조현미 기자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