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 일자리를 없애고 일용직을 만드는 게 일자리 창출입니까?"
김후범(41·사진) 대구경북골재노조 위원장은 4대강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잠을 못 자는 날이 많아졌다. 일자리를 만든다던 4대강 사업으로 인해 골재채취노동자들은 대책 없이 일자리를 잃고 있기 때문이다. 골재노조는 국회·국토해양부 등에 대책을 촉구하기 위해 방문했지만 답을 주는 곳은 없었다.

4대강 계획에 따라 낙동강에서 4억4천만세제곱미터를 준설하면 34년간 채취할 골재가 2년 안에 파올려진다. 골재업체가 사업에 참여할지라도 공사기간인 2년 뒤에는 실직 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지난 88년 서울올림픽 당시 한강에서 1억세제곱미터의 골재를 채취해 정비 사업이 끝난 뒤 골재채취가 전면 중단됐다.

김 위원장에 따르면 4대강 사업이 시작되는 12월께 1천여명의 골재채취노동자들이 거리로 내몰릴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700여명이 일하는 낙동강 골재채취노동자에게 큰 피해가 속출할 예정이다. 이들은 아무런 보상도 받지 못한다. 골재채취 노동자들의 평균 근속은 20년으로, 평균 연령대도 50대 초반에 달한다.

"한참 돈이 많이 들어갈 시기에 평생 일자리가 사라지는데, 가만히 있어야 하는 겁니까. 골재업체에 대한 대책만 논의되고 있을 뿐 정부에게는 우리가 투명인간에 불과합니다."
4대강 사업에 참여할 대기업이 입찰을 마친 가운데 현재 정부는 중소업체를 상대로 참여유무·영업손실 보상 여부를 논의 중이다. 골재업체도 4대강 사업시 대량 골재 공급으로 가격 폭락과 폐업으로 이어진다며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골재채취노동자에 대한 대책은 없다. 김 위원장의 고민은 고용을 넘어 환경문제로 이어진다.

“우리는 20~30년 동안 낙동강에서 일하며 강의 형태와 토질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습니다. 바닥이 낮아져 홍수 범람이 없음에도 재해대책을 마련하겠다는 것은 거짓이에요. 보를 설치하면 유속이 정체돼 수질도 악화될 겁니다.”

김 위원장은 환경단체와 함께 대책을 촉구하기 위해 11월 초 상경투쟁을 준비 중이다. “정부와 시민이 골재채취노동자들의 존재만이라도 알아줬으면 좋겠습니다.” 상경투쟁을 앞둔 그의 소박한 바람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