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공단 비정규직노조는 오늘을 끝으로 역사 속에서 사라지게 된다.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대책에 따라 산업안전공단 비정규직노조 조합원 39명 전원이 정규직으로 전환됐기 때문이다. 노조는 22일 정오 ‘해산’을 공식 선언한다. 지난 2005년 1월24일 노조를 설립한 지 2년8개월만이다.

노조 해산을 앞두고 조합원들로부터 ‘노조 탈퇴서’를 받고 있는 정용길 산업안전공단 비정규직노조 위원장(38)은 시원하기도 하고 아쉽기도 하다. 사무보조에서부터 역학조사사업, 교재개발, 체력측정 등 26개 직종에서 각각의 업무를 담당해온 산업안전공단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3년 전인 지난 2004년 상시적인 구조조정 압박 앞에서 ‘하루살이 목숨’에 불과했다. 고용불안은 자연스럽게 ‘노조’를 원했고 이들은 정규직 노조의 문을 두드렸다. 하지만 당시 정규직노조의 반응은 냉담했다. 비정규직의 노조가입을 놓고 대의원대회에서 찬반투표까지 벌어졌지만 딱 1표가 부족해 결국 거부당했다. 이후 정규직노조는 규약을 고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독자노조 설립을 열어주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물론 정규직노조에 배신감을 느끼는 비정규직 노동자들도 있었지요. 하지만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이것이 바로 ‘현실’이라고 느꼈죠. 그렇다면 담담하게 받아 들여야지요. 정규직이 안 받아준다면 우리 스스로 권리를 찾는 길밖에 없으니까요.” 정용길 위원장의 말이다.

하지만 지금의 산업안전공단 정규직노조와 비정규직노조는 공공연맹 안에서도 ‘사이좋기’로 유명하다. 회의가 있어도 언제나 함께 참석한다.

“올해 정규직노조에 새 집행부가 들어서면서 대화를 많이 했어요. 정규직노조측 입장도 충분히 이해가 가더라고요. 정규직-비정규직이라도 다 같은 결국은 노동자인데 힘을 합쳐야지요. 과거는 묻고 새출발 하자고 의기투합이 됐죠.”

정용길 위원장은 지난 19일 정규직으로 발령을 받았다. 3년 전 ‘1표’ 때문에 쓰지 못했던 정규직 노조가입원서를 다시 쓰고 있는 지금, ‘공공부문 비정규대책’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을까?

“한마디로 반쪽짜리이죠. 고용보장은 됐지만 우리 임금은 ‘인건비’가 아니라 ‘사업비’로 배정되어 있습니다. 무기계약이지만 민간인 신분이기 때문에 아웃소싱이 실시되면 한 방에 날아갈 수도 있습니다. 반드시 ‘대책’을 보완해야합니다.”

<매일노동뉴스> 2007년 10월 22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