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의 노조 간부와 조합원들은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의 역할로 ‘지역노조 네트워킹’을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의 지역사회 전략으로 ‘지역 노동시장의 적극적 개입’을 가장 먼저 주문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민주노총 울산본부가 노조 간부(활동가)와 조합원은 103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설문조사한 결과로, 울산본부는 ‘2007년 산별시대의 새로운 활동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이같은 설문조사를 실시했다고 밝히고 있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2005년 11월 민주노총 정책연구원과 한국노동사회연구소에서 발표한 ‘지역사회와 노동운동 개입전략’의 설문조사에 바탕을 두고 작성됐다. 울산본부는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 산별연맹에서 근무하는 실무자, 단위노조 대표와 조합원 중 무작위로 회의 참석자와 방문자를 중심으로 103명을 추출하여 설문 표집을 설정했다”면서 “ 때문에 이번 설문조사 결과가 울산지역 노조간부와 활동가, 조합원 의식을 대표하지는 못하지만 큰 흐름과 방향을 참고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산별노조시대, 양극화해소에 주력

이번 설문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최근 노동운동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핵심과제로 현장 조직력 강화(33.3%)를 꼽았다. 다음으로 △비정규직 조직화(17.0%), △노동운동 이념 혁신(12.0%) 순으로 이어졌다.

또, 산별노조 전환 이후 노동운동이 특히 주력해야 할 핵심과제로는 응답자의 28.0%가 차별철폐와 사회 양극화 해소를 지목해, 비정규직 조직화와 조직확대(22.0%)보다 조금 높게 나왔다. 그밖에도 지역단위 연대투쟁 강화(19.01%), △노동운동의 사회적 책임활동 강화(18.0%)가 비슷한 수준으로 나왔다. 울산본부는 “혁신전략을 묻는 질문에서 응답자가 각 문항마다 비슷하게 답변한 것은 개인마다 특정 대안을 정립하지 못하고 혼란스러워하는 부분이 반영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밖에도 노동운동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서 응답자의 87.3%는 ‘지역사회로부터 지지를 받는 노동운동의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노동운동 전략은 중앙과 서울에 너무 집중되어 있다’는 데에도 66%가 동의했다. 또, 노동운동 위기는 정파와 패거리 선거문제에서 왔다고 보는 경향이 있으며 5명 중 4명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집단지도체제가 필요하다는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지역본부 과제, ‘노동시장 개입’

울산지역 노조 간부와 조합원들은 민주노총 울산지역본부의 역할로 ‘지역노조 네트워킹(23.0%)를 우선 꼽았으나, △지역 사회운동 연대(20.1%)과 △지역 미조직 노동자 조직화(18.0%) △지역사회 노동정책 개발(17.3%) 등도 고르게 나왔다.

이와 관련해 울산본부는 “지난 2005년 노동사회연구소의 설문조사에서는 지역본부의 역할로 취약사업장 투쟁지원(36.4%)을 가장 많았으나 이번 설문조사에서 울산의 경우 ‘지역노조 네트워킹’이라는 응답이 많아 의외의 결과”라고 설명했다. 울산본부는 “민주노총 내셔널센터의 기능이라면 지역본부는 로컬센터로서의 기능과 역할에 중심을 두고 울산지역에서 노조간 연대의 구심점으로 보고 있음이 나타난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노동운동의 지역전략의 과제를 묻는 질문에서 35.5%가 ‘지역 노동시장(고용, 일자리 창출, 임금, 노동시간 등)의 개입’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높았다. 이어 △지역사회 의사결정 구조의 개입과활용(16.4%), △지역사회와의 유대강화(12.6%), △지역 시민운동, 부문운동과의 결합력 강화(12.6%), △진보적 지역 발전계획 수립과 추진(12.0%) 순의 응답이 많았다. 울산본부는 “노동운동의 지역 전략에서 ‘지역노동시장 개입’이 압도적으로 높았다는 점은 지방자치시대이후 지역본부의 역할과 기능이 지역 노동시장과 산업정책에 대한 개입력을 높여야 한다”는 의미로 분석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노동운동이 개입해야 할 지역 이슈에 대해서는 △고용, 최저임금 등 노동자 생존권 부분이 특히 높았고(47.8%), 2위 △지역 산업구조 및 경제발전(21.7%), 3위 △주택, 보건 등 사회복지(18.5%)도 높게 나왔다.
 

 
 
<매일노동뉴스> 2007년 3월 5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