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보러 간다’는 말 보다 ‘이마트 간다’는 말이 익숙할 만큼, 90년대 초반 설립되기 시작한 대형마트들은 공세적으로 규모와 점포 수를 확대해 왔다. 93년 이마트가 서울 창동에 1호점을 연데 이어, 한국 유통시장 완전 개방화 원년인 96년에는 까르푸가, 98년에는 한국 마크로를 인수한 월마트가, 99년에는 삼성과 영국 테스코의 합작품인 홈플러스가 속속 문을 열었다. 2006년 12월 현재 전국의 대형마트 점포수는 342개. 지난해 대형마트 전체 매출규모는 25조4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며, 한 점포당 734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표1> 유통업계는 올해에도 40여개의 신규점이 개설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 처럼 대형마트가 우후죽순 늘어남에 따라, 동네 구멍가게 등 중소유통업체 약 4만 곳이 문을 닫고, 종사자 6만명 가량이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7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간한 ‘대형마트 현황과 중소유통 활성화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대형마트의 점포수와 매출액이 급증한 2000년부터 2004년까지 중소유통업체 수는 총 3만9,005개 줄어들고, 종사자는 5만8,114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상인·납품업체 ‘죽을 맛’

대형마트의 확산은 중소유통업체의 매출액 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유통물류진흥원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중소상인의 86.2%가 영업환경이 나빠졌다고 답했고, 중소상인의 93.6%사 매출감소를 호소했다. 재래시장 역시 2005년 매출액은 전년 대비 2조7천억원, 시장 당 하루 평균 매출액은 551만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마트에 물건을 납품하는 중소제조업체는 대형마트의 불공정행위와 과도한 수수료 요구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중소기업 중앙회에 따르면, 중소납품업체의 70.4%가 불공정행위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불공정행위는 판촉비, 광고비, 경품비 등에 대한 비용전가행위(43.4%), 납품단가 인하 요구, 부당 반품, 서면계약 미체결 등 부당거래조건 제시(28.9%), 판촉사원 파견, 특별판매행사 참여 등 이벤트 강요행위(21.1%) 등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이 같은 불공정행위를 당한 남품업체의 84.2%가 거래중단 등이 우려돼 대형마트의 횡포를 참고 있다고 답했다.

유통 빅4, 매출 싹쓸이

중소상인들이 매출 감소로 울상을 짓는 동안, 대형마트 내에서도 매출 편중 현상이 나타났다. 이른바 ‘유통 빅4’로 불리는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홈에버 등은 지난해에만 17조7천억원의 매출을 기록, 전체 대형마트 매출의 75.3%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마트는 점포수 110개(32.3%), 매출액 8.1조(34.5%)로 압도적 우위를 보였다.
대형마트의 지역별 편중 현상도 두드러졌다. 서울, 경기, 인천에 있는 대형마트의 지난해 매출액은 13조2000억원으로 전체의 57%에 달했고 점포 수도 48.3%(160개)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형마트 규제 불가피"

대형마트 확산되면서 각 지방자치단체와 대형마트 간 민원 또는 분쟁 역시 크게 증가하고 있다. 광명시, 구미시, 울산시 등은 재래시장 등 상인이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 대형마트 입점에 대해 반대운동을 추진 중이다. 각 지자체 역시 대규모점포 입지제한, 교통유발부담금 확대, 업무지침 등으로 대형마트의 입점이나 영업활동을 제한하는 곳이 늘어나고 있다.

이 같은 흐름과 관련해 현재 국회에는 대규모점포 허가제, 영업시간 및 품목제한 등을 주요내용하는 법안 3개가 심상정, 김영춘, 이상민 의원 발의로 계류 중이다. 노동계 역시 대형마트에 대한 영업시간 제한의 필요성을 강조해 왔다.

중소기업중앙회 유옥현 소기업유통서비스팀장은 “외국 역시 대형마트 확산에 따른 지역경제 침체를 방지하고자 대규모점포의 입점 제한, 영업시간 및 품목제한 등 규제를 가하고 있다”며 “현재 국회 계류 중인 대규모점포 관련 법안의 조속한 통과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매일노동뉴스> 2007년 2월 9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