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 노조가 분할매각을 골자로 한 민영화 계획의 수정을 요구하며 전면파업을 선언했다. 파업 단행 여부를 떠나 부채가 늘어나는 공기업의 노조원들이 구조조정에 반대해 극단적인 집단행동을 벌이는 것은 자제해야 마땅하다.

경제위기 돌파 국면에서 과감한 민영화와 감량경영은 피할 수 없는 길이다. 지금 그 고비의 갈림길에서 한전 같은 거대 공기업 노조의 신중하고도 대안있는 상생(相生)의 타협점 모색이 절실하다.

공기업 경영이 방만하게 된 데는 낙하산인사 등으로 비효율을 자초한 정부에 상당한 책임이 있다.

그러나 물경 31조원의 부채 때문에 연 1조원의 이익을 내면서도 이자조차 감당하지 못하는 한전을 기간산업이란 이유만으로 계속 끌고갈 수는 없지 않은가.

더군다나 공공부문은 상대적으로 개혁이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아온 점을 감안할 때 한전뿐 아니라 철도청.한국담배인삼공사.한국중공업 등 공기업종사자들은 민영화와 구조조정이 불가피한 수순이란 점을 수용해야 한다.

공기업뿐 아니라 파업을 예고한 건설노련.금속노련.사무금융노련과 공동'동투(冬鬪)'를 선언한 한국. 민주노총 등에도 자제를 당부한다.

정부의 정책실패로 다시 실직의 고통에 직면한 근로자의 심정은 이해하고도 남는다. 정부는 경제가 이 지경에 이른 데 대해 책임을 통감하며 근로자와 국민의 아픔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정치권도 대오각성, 공적자금을 속히 처리하는 등 경제현안에 눈을 돌릴 것을 촉구한다.

그러나 노동계 역시 위기국면으로 치닫는 우리의 경제현실을 감안할 때 구조조정은 피할 수 없는 대세며, 극단적 대결은 사태를 악화시킬 뿐이라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

강성노조 이미지가 되살아날 때 외국인 투자자들의 이탈은 가속되고, 대우차 예에서 보듯 말없는 다수 근로자들에게 더 큰 고통을 안겨줄 뿐이다.

지금은 대결이 아니라 노사. 노정이 머리를 맞대고 협력과 공조를 모색하는 지혜를 발휘할 때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