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쟁 일정·조직 방안 등 실무논의서 대체적 윤곽 나올 듯

양대노총 위원장이 오는 24일 회동을 전격 합의함으로써 지난달 말 노동자대회 일정 조정 문제가 불거진 이후 '소걸음'을 걸어온 양대노총의 공동투쟁 논의가 다시금 급류를 타게 됐다.

사실 양대노총 위원장이 각각 노동자대회에서 '공동투쟁본부 구성'과 '12월 5일과 8일 총파업'을 제안한 것과 관련해 실무자들 사이에서는 이런저런 이유로 상대방 제안에 대해 회의적인 반응이 적지 않았다. 당연히 공동투쟁 문제를 논의할 그 어떤 채널이 가동되기를 기대하는 것도 어려웠다.

때문에 20일 전격적으로 발표된 '24일 회동 합의'은 이런 양노총 내부의 분위기를 일신하는 것은 물론, 법·제도 개선과 구조조정 저지 등 노동계의 하반기 주요 현안에 대한 공동 대응을 기정사실화하는 상황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공동투쟁 논의가 사전 실무협상을 거쳐 대표자들이 전격 발표하는 형식이 아니라 대표자 회동 일정을 정해놓고 실무협의가 진행돼 부담이 더 큰 만큼, 긍정적 결론에 이를 가능성이 더 높다.

회동까지 나흘밖에 남지 않은 관계로 양대노총은 곧바로 대외협력업무 담당자간 실무 협의를 거쳐, 공동투쟁의 방식과 내용 등 위원장 회동에서 논의할 내용의 대체적인 윤곽을 잡아가게 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는 양노총이 서로에게 제안한 공동투쟁본부 구성을 중심으로 한 조직 방안과 12월 5일과 8일 총파업 여부를 중심으로 한 투쟁 일정에 대한 절충 문제가 집중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실무협의가 원만한 이뤄져 양대노총 위원장이 오는 24일 회동에서 공동투쟁을 공식 선언하고 본격 실천단계에 들어설 경우, 노동계의 대 정부 압박 수위는 한층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검찰탄핵안'을 둘러싼 여야간 정쟁으로 국회 일정 자체가 유동적이라 확언하긴 이르지만, 만일 정부가 양대노총이 반발하는 노동관계 법안의 국회 통과를 강행해 양대노총의 동시 총파업을 촉발할 경우, 현장 조합원들의 불만이 임계점에 달한 상황에서 그 '폭발력'은 지난 96년 노동법 파업 당시를 떠올리기에 충분한 수준에 이를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다.

결국 양대노총의 동계 공동투쟁은 정부 당국으로서도 무시할 수 없는 상당한 비중의 변수로 등장하게 될 것이란 얘기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