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서비스 기사들이 집단적으로 노동환경 개선을 촉구하기 시작했다. 지난 14일 퀵서비스 기사 150여명은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에서 집회를 열고 △특수고용노동자인 퀵서비스 기사의 노동자성 인정과 노동3권 보장 △교통사고로 인한 건강·생계 파탄을 예방하기 위한 4대보험 가입 허용 △정부 주도의 퀵서비스 기사 노동실태 조사 및 법·제도적 보호방안 마련 등을 촉구했다. 이날 집회를 주최한 퀵서비스인권운동본부의 유정인 대표<사진>에게 퀵서비스 기사들의 노동실태와 향후 활동계획을 들어보았다. 다음은 일문일답.

- 퀵서비스인권운동본부(운동본부)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 달라.
“물류의 일부를 담당하면서도 이 사회의 한 축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법·제도적 보호망의 사각지대에 놓인 퀵서비스 종사자들의 실태를 알리고, 정부에 보호방안 마련을 촉구하기 위해 결성된 단체다. 노동조합 결성에 앞선 과도기적 단체로 보면 된다.”

- 주말에 집회를 개최했다.
“운동본부를 만들기 전에 퀵서비스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퀵서비스협회는 퀵서비스 기사들의 단체는 아니고, 퀵서비스 회사 사장들의 모임이다. 기사, 사장을 떠나 퀵서비스 업종 자체의 노동환경이 워낙 열악하다보니, 당시 건교부, 경찰청, 서울시 등을 쫓아다니며 제도개선을 요구했는데 아무런 소득이 없었다. 십년 넘게 퀵서비스 업종에 종사해 오면서 느꼈던 문제점들을 개선코자, 퀵서비스 기사들을 포함한 운동본부를 결성하게 됐고, 그 연장선에서 주말집회를 개최했다. 이날 집회의 표면적 주제는 ‘남부순환로, 노들길에 대한 이륜차 통행을 즉각 허용하라’는 것이었지만, 실질적인 주장은 법·제도적 장치 마련을 통해 퀵서비스 종사자들의 노동환경을 개선하라는 것이다.”

- 퀵서비스 종사자들의 가장 큰 어려움은 무엇인가?
“일단 오토바이를 타고 일하다보니, 사고율도 높고 한번 사고가 나면 중상을 입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문제는, 퀵 기사들이 산재보험 등의 혜택을 전혀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사고가 나면 기사 본인뿐 아니라 그 가족들까지 생계가 막막해진다는 점이다. 또한, 최근 주5일제가 도입되고, 영세업체들이 난립함에 따라 퀵 기사들에게 돌아가는 수입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4대보험 등 최소한의 안전막이 절실하다.”

- 향후 계획은?
“최종적으로는 노동조합 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활동가들도 모집하고 있는 단계다. 조만간 국회 앞에서 퀵서비스 종사자의 노동환경 개선을 촉구하며 일인시위에 돌입할 계획이고, 서울시청 앞 등 상징성이 있는 곳에서 2차 집회를 열 계획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