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법 노사 협상 시한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국회 앞은 비정규노조를 주축으로 한 ‘공동투쟁본부’ 천막과 민주노총의 시국농성 천막이 입추의 여지 없이 자리잡고 있다. 여기에 지역과 현장조직 등 30여개 단체로 구성된 ‘비정규직 철폐 현장투쟁단’ 천막도 자리를 함께 하고 있다.

현장투쟁단은 지난 24일 이경수 전 민주노총 충남본부장, 임성규 전진 대표, 김창근 전 금속노조 위원장 등이 단식농성에 돌입, 5일째를 맞고 있다. 이들은 28일 현재 박장근 노동자의 힘 대표, 양규현 전국불안정철폐연대 대표, 양동규 민주노총 금속연맹 경기본부 부본부장 등 공동대표단 3명이 결합하면서 단식농성 규모를 확대했다.

임성규 현장투쟁단 공동대표(전진 대표·사진)는 <매일노동뉴스>와 인터뷰를 통해 “민주노총의 총파업 전술만으로는 지금의 위기를 돌파할 수 없기 때문에 현장 활동가들을 중심으로 현장의 동력을 최대한 조직하고 여의도에 노동계의 목소리가 집중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다음은 일문일답.

- 현 시기 현장투쟁단이 갖고 있는 역할과 의미는.
“민주노총이 솔직하지 못하다. 이는 민주노총 비대위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부턴가 남발됐던 총파업 전술이 현장에 녹아들지 못하면서 과연 활동가들은 이 시점에서 무엇을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부족하다는 이야기다. 현장투쟁단은 민주노총의 총파업 지침에 복무하지만 이를 만들기 위해 ‘비어 있는 부분’을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했다. ‘여의도’에 농성기점을 잡고 민주노총과 민주노동당 등 사회적 제세력들의 규합을 위해 최선을 다할 방침이다.”

- 구체적인 투쟁계획을 설명하면.
“12월1일 민주노총이 총파업에 돌입, 전국동시다발 집회를 할 텐데 분명 파업대오는 예년에 못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민주노총 지도부, 민주노동당 지도부 등 사회적 제세력들을 하나로 규합해 여의도 농성을 확대하고 투쟁의 구심점을 잡는 것이 필요하다. 현장투쟁단은 이러한 인식 하에 오늘(28일) 단식농성을 확대하고 여의도 농성장이 이후 정부에 대한 투쟁을 할 수 있는 기점이 될 수 있도록 노력을 하고 있다.”

- 노동계가 제시하고 있는 법안과 관련해 현장투쟁단은 어떤 입장인지. 공투본쪽은 상당히 반발하고 있다.
“공투본의 입장과 동일하다. 현재 노동계의 요구안이라고 하는 '1+1' 안은 민주노총 공식기구에 보고는 됐지만 공인되지는 않았다. 최근 중집회의에서도 민주노총 안이 아님을 분명히 했다. 지난 4월 노사정 교섭과정에서도 민주노총은 특수고용 문제를 포함해서 일괄타결 한다는 방침을 세운 바 있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특수고용문제조차도 다뤄지지 않고 있는 이 안을 갖고 '합의' 운운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 다만 열린우리당이 비정규보호법안을 강행처리했을 때 이를 노동계의 책임으로 미루려는 ‘수작’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 법안이 통과될 경우 이후 어떤 투쟁들을 배치할 것인지.
“법안이 통과된다…. 갑갑하다. 그러나 정부가 강행처리 할 경우 이제 저항하는 일밖에 남지 않은 것 아니냐. 앞서도 이야기했듯이 민주노총은 결국 96, 97년 노개투 파업과 같은 현장이 움직이는 위력적인 파업으로 맞서야 한다. 민주노동당 역시 노동계와 함께 가두투쟁 등 투쟁의 전면에 나서 거리에서 사회적 대투쟁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정부가 기만적인 강행처리를 할 경우 아직 불붙지 않는 노동계에 불을 붙인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 현장투쟁단에서 대해서 일부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현장투쟁단에 나(전진)를 포함해 노동자의 힘, 정치조직들이 들어가 있고, 민주노총 사직자들이 규합된 것에 대해 오해의 여지가 있긴 하다. 그러나 현장투쟁단을 만드는 데 앞서 비정규법안이라는 중요한 투쟁을 앞두고 지역, 각 정치조직 등 활동가들이 민주노총의 총파업에 복무할 것을 결의하고 만든 것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