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란공원에 간다. 그곳엔 내가 태어나던 해에 죽은, 아직도 스물두 살인 전태일이 있다.

그리고 문익환, 박영진, 박래전, 성완희, 문송면, 김귀정, 조영래…. `민주열사 묘역'에 들어서는데 낯익은 노래 소리가 들려온다. 창살 아래 네가 묶인 곳 살아서 만나리라. 밥이 되지 않고, 알콩 달콩 생활의 잔재미를 북돋우지도 못하는`기억'을 더듬으며 저들과 나는 왜 이곳에 오는가. 오월과 십일월이면 밀린 부채를 탕감하듯 나는 왜 서둘러 묘지를 찾는가.

묘지 부근에서 유독 살지게 자라는 나무들. 붉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움켜쥔 적단풍나무 줄기에 이마를 댄다.

어떤꿈을 덜고 어떤 꿈을 더하러 우리는 묘지로 오는가….

고백하건대, 어떤 `책'을 읽고 눈물 흘려본 기억이 있다면 내겐 이 책이 유일하다. 그것은 좋은 책이라든지 감동적인 책이라든지의 범주를 넘어선, 날 것 그대로의 아픔과 분노가 촉발시킨 눈물이며 그때의 눈물은 카타르시스의 둥근 포용성이 아니라 날카로운 예각으로 나의 내부를 찢으며 온다. 어린 스물에 <어느청년 노동자의 삶과 죽음>은 그렇게 와서 내 바깥의 `나들'을 깨닫게 하고 인간에 대한 예의와 `인간적인'이라는 말이 빚는 빛과 그늘의 웅덩이를 들여다보게 하였다.

“이 결단을 두고 얼마나 오랜 시간을 망설이고 괴로워했던가. 나는 돌아가야 한다. 불쌍한 내 형제의 곁으로, 내 마음의 고향으로…내 이상의 전부인 평화시장의 어린 동심 곁으로. 나를 버리고, 나를 죽이고 가마. 조금만 참고 견디어라. 너희들의 곁을 떠나지 않기 위하여 나약한 나를 다 바치마.”국민학교조차 졸업할 수 없었던 삶의 조건 속에서 전태일이 남긴 빼곡한 일기속에는 인간에 대한 절망과 분노와 탐구와 희망과 고통받는 어린 생명들에 대한 지극한 사랑이 있다. 지극한 사랑을 품은 대가로 그는 스물 두 살의 나이에 분신산화 하였다. 1970년 11월 13일. 그리고 시작되었다. 그 이전엔 아무도 말하지못했던 `노동자'의 대자적 인식이, 인간의 조건을 각성한 `노동운동'의 격류가.

우리는 흔히 `평균적'으로 살만해졌다고 말한다. 그러나 모두가 배불러도 단한명의 굶주린 이가 있다면 이것은 잘못된 일이다. 바로 이 땅에서, 가까이북녘에서, 몸 팔러 고향을 떠나온 이국의 노동자들 속에, 제3세계에 가해지는 숱한폭력과 착취 속에, 이 막돼먹은 세계 속에 순연한 `긍정'이 놓일 자리는 불행히도없다. `자기부정'과 `부정'을 `부정'하여 도달한 `긍정'의 좁은 문이 있을 뿐.고치를 뚫고 나오는 나비처럼, 스스로를 태운 재 속에서 다시 생명을 얻는 전설의 새처럼.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