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우리 사회에는 신 사회운동의 대표적 형태인 시민운동의 붐이 일고 있다. 본래 의미의 시민운동은 사안별로 세분화돼 전문성을 갖춘, 이익침해 당사자들의 자발적 운동이어야 한다. 하지만 한국의 시민운동은전문성이 결여된 상태에서 ‘여론 조성을 통한 당위성의 창출과 이를 통한 동원’이라는 인상이 강하다.

최근 사회문제화 됐던 SK텔레콤의 경우가 역시 시민운동의 목적과 결과에 의문을 제기하게 만드는 중요한 예다. SK텔레콤의 유상증자를 반대하기 위해 참여연대는 미국계 투기성 단기자금인 타이거 펀드와 손을 잡았지만 그 이익은 타이거 펀드에만 돌아가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는 한국시민운동의 목적과 결과의 전도, 그리고 해외 투기자본과의 연계라는 측면에서의 수단의 적실성에 의문을 제기해 주고 있다.

시민운동 단체가 외국계 투기성 단기자금과 손잡거나 외국의 펀드매니저들의 지지를 이용하는 경우는 삼성전자 문제에도 적용된다.

한 시민단체는 삼성자동차 문제와 관련, 미국 월가의 주요 주주들과 공동으로 삼성전자를 제소할 것이라고 최근 보도된 바 있다.

여기서 제기될 수 있는 문제점은 목적의 옳고 그름이 결과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수단과 과정까지 포함해 판단된다는 사실을 시민운동단체가 간과하고 있다는 것이다.

해외의 투기성 자금과 관련해 많은 우려의 시선을 보내고 있는 국민의식을 고려할 때도 이러한 방식은 시민운동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자발적 지지’를 끌어내기 힘들 것이다.

이는 ‘우리가 하는 일이면 모두 선’이라는 사고와도 관련이 있다. 이런 사고는 이들 단체의 정치권력화와 연관이 있다고 생각한다.

정치권력화는 스스로의 행위를 ‘무오류’라고 생각하는 자만에 빠지게한다. 자만은 결국 오만을 낳고 오만은 독선과 그릇된 판단을 생산하기때문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