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은행이 서울 계동지점에 돌아온 현대건설 어음 224억원을 연장해주지 않고1차부도 처리한 것은 더이상 현대문제에 끌려다니지 않겠다는 주채권은행과 정부의최후통첩으로 비친다.

그동안 현대건설을 회생시킬 수 있고, 또 시켜야 한다는 뜻을 내비쳐온외환은행이 스스로 부도를 낸 배경을 놓고 여러 분석이 나오고 있다.

◇ 정부의 의중은? =현대건설 부도가 몰고올 파장을 고려할 때 외환은행은정부와 사전협의를 했을 것임이 틀림없다. 정부의 강공은 현대쪽에 자구계획이행의 속도를 높이라는 강력한 촉구로 해석된다. 이와 함께 정주영, 몽헌 회장부자에 대해 사재출자 등 성의를 보이지 않으면 출자전환을 통해 경영권을 박탈할수 있다는 압력을 가한 것이다.

출자전환은 정 회장 부자에 대한 압박수단이기는 하지만 정부로서도 쉽게선택할 수 있는 카드가 아니다. 재벌기업에 대한 출자전환 자체가 당장의 금융비용부담을 덜어주는 등 특혜로 비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부는 현대건설 퇴출이 몰고올 파장을 미리 시장에 예고함으로써채권단의 출자전환이 불가피한 게 아니냐는 분위기를 조성하려는 의중도 있을것으로 보인다.

◇ 외환은행의 속뜻 뭘까? =금융권에서는 현대건설에 대한 1차부도 결정이김경림 행장의 `도박'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현대건설쪽의 자구이행이 속도감있게 진행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제2금융권은 물론 일부 은행들까지 가세한자금회수 움직임을 차단하는 게 필요했다는 분석이다. 현대건설 퇴출은 생각할 수없는 주채권은행으로서 일부 채권단이 자금을 회수하면 추가 자금지원이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은행의 생리상 지원된 자금이 다른 금융기관의 대출을상환하는 데 들어가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일이다. 외환은행 관계자는 “현대에대한 여신은 7천억원 가량이며 확보된 담보가 5800억원이 넘는다”면서 “설사부도처리되더라도 외환은행으로서는 큰 타격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연수 부행장은 “지난 주말인 금요일과 토요일에만 1700억원이 돌아와 현대가이를 결제했다”며 “11월3일에는 해외에서 발행한 신주인수권부사채900억원어치가 돌아올 예정”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채권단 사이에 만기연장에대한 협조 약속을 받아둘 필요가 있었던 셈이다.

◇ 현대 어떻게 대응할까? =정부와 채권단의 예기치 않은 공세에 현대는 일단동원할 수 있는 자금을 총동원해 부도를 막고 있다. 일부 공사 기성대금을 앞당겨받고 자체 보유한 어음을 할인하는 등의 방법으로 당장 급한 불을 끈다는 방침을세우고 있다. 그러나 매월말 만기가 돌아올 자금의 규모를 감안하면 지난 10월18일발표한 1조6천억원 규모의 추가자구계획에 대한 속도를 높여 현금 유동성을확보하는 길 이외에 별다른 수단이 없는 형편이다.

그러나 현대쪽은 정부가 이번 정현준 사건으로 입은 상처를 만회하느라 지나친강경수단을 동원했을 수도 있다고 보고 사태가 진정되면 차분하게 타결책을 논의할계획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