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연구원은 올해 국민경제생산성에 따른 적정 임금인상률이 5.6%로 산출돼 실제 임금상승률은 6.3% 수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노동연구원은 ‘실질경제성장률(4.0%)+소비자물가상승률(3.0%, 이상 한국은행)-취업자증가율(한국노동연구원 1.4%)’로 계산, 5.6%가 적정 임금인상률이라고 밝혔다. 실제 노사협상 과정에서 결정되는 명목 임금상승률은 1990년 이후 과거 실적치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적정임금인상률에 비해 0.2%~1.2% 포인트 높은 6.3%(±0.5%) 수준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경우, 노동연구원은 적정 임금상승률 6.0%, 명목임금 상승률 7.9%(±0.5%)로 전망한 바 있다. 하지만 지난해 1~11월 평균 임금상승률이 전년 동기대비 5.4% 상승된 것으로 조사된 것과 비교할 때, 올해 임금인상률은 다소 높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임금상승률은 일정한 시기와 장소에서 표준 생활수준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생활비를 일컫는 ‘표준생계비’를 기초로 해 요구안을 마련하는 양대노총의 임금요구안과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올해 노동계 임금인상 요구율은 한국노총 9.4%, 민주노총은 9.3%(±2%)로 노동연구원의 적정인상률보다 1.7~5.7% 포인트가 높다. 특히 두 노총은 비정규직 임금차별 해소를 위해 비정규직 임금인상률로 각각 19.9%, 15.6%를 제시하기도 해 노동연구원의 적정인상률보다 격차는 더 벌어진다.

한편 노동연구원은 “경제성장률이 예상보다 높게 나타날 경우 실제 임금상승률은 전망치보다 다소 높아질 가능성이 있으며, 경기회복 속도가 더디거나 노동시장 양극화가 진전될 경우 근로자간 배분원칙에 주된 관심이 모아져 실제 임금상승률은 전망치보다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