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에서 불법파견 판정을 받은 비정규직 노동자 1만명을 모두 정규직해도 추가비용은 현대자동차 순이익의 1.3%에 불과해 정규직 고용이 불안해진다는 회사 논리는 ‘순전히 거짓’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금속연맹의 기관지인 <금속노동자> 20호(2월21일자)는 “근속 3년차인 정규직 노동자의 월급이 잔업특근을 다 포함해 대략 230만원이고, 현대자본이 하청업체에 노동자 1명당 주는 돈이 210만원”이라면서 1년 추가비용을 240억원(20만원*12개월*1만명)으로 계산했다. 이는 지난해 현대차의 순이익 1조7,846억원의 1.3% 수준에 그친다. 복지기금 등을 포함해 1인당 월 100만원으로 추가비용을 계산해도 6.7%에 불과하다는 주장이다. 반면 지난해 2차 하청업체 노동자가 받은 월급은 세금을 제하고 고작 87만원이라는 것.

금속연맹은 “현대자본이 노동자를 직접 고용하지 않는 이유는 단 한가지. 노동자들이 단결해서 만들 전투적인 노조가 딱 질색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차별은 정규직 노동자도 위협한다”며 “대기업 정규직노조는 고연봉을 받는 집단이기주의라는 노무현 정부와 자본, 보수언론의 잇단 공격으로 지난해는 경제성장률, 경상이익률, 노동생산성은 모두 상승했지만 인건비는 오히려 하락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금속연맹은 “원하청 노동자가 모두 함께 싸워 이길 수 있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글을 맺었다.

이같은 금속연맹의 주장은 현대차 정규직 노동자를 향한 ‘의미 있는 주장’으로도 해석될 수도 있을 듯하다. 기관지의 같은 호에 실린 최남선씨 인터뷰 기사는 비정규 노동자들이 스스로 단결하고, 비정규직을 정규직의 고용안정을 위한 완충장치로 여기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묻고 있기 때문이다. 최씨는 지난달 22일 현대차노조 화장실에서 분신을 시도한 현대차 비정규직 노동자다.

최씨는 이 인터뷰에서 “내가 그런 시도를 했던 건 한편으로 정규직노조에게는 비정규투쟁에 좀더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는 뜻”이었고, “또 한편으로는 비정규노조가 비정규노동자들을 단결시켜 적극적으로 대응해주기를 바라는 두 가지 뜻이 모두 담겼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