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건설노련, 공공서비스노련, 정부투자기관노련 등 한국노총 공공3개 연맹이 지난달 23일 창립 발기인대회를 하고, 지난 13일 현판식까지 하면서 통합연맹으로서의 공식 행보를 한발한발 내딛기 시작했다. 이에 장대익<사진> 공공노련 총괄위원장을 만나 연맹 통합의 의미와 통합연맹이 가야할 길에 대해 들어봤다.

- 한국노총에서는 금속노련과 화학노련이 먼저 통합을 시도했다. 결과적으로는 공공노련이 먼저 통합을 이뤘는데, 통합이 가능할 수 있었던 요인은.

“여러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공공부문이 하나로 가는 게 맞다’는 각 조직의 공감이 있었다. 조직이 통합해야 한 채널을 형성해서 정부와 대화할 수 있다는 데 뜻을 같이 한 것이다. 둘째는 각 연맹을 맡고 있는 위원장들이 조직의 이해관계를 떠나서 통합을 결정해준 것이라고 생각하며, 통합을 추진하는 실무위원들도 각 연맹의 기득권을 버리고 공공노동자들을 위해 일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드는데 정진했다. 이런 모든 것들이 아우러져 통합이 가능할 수 있었다.”

- 통합연맹으로 어떤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을지.
“공공노련은 정부투자기관과 재투자기관, 출연, 출자, 위탁기관 등으로 구성돼 있다. 또 조직 구성원도 정규직과 비정규직이 공존하고 있다. 이런 특성을 아우르면서 내부적인 개혁을 먼저 해야할 것이다. 그 개혁이 서로간의 화합이고, 이는 결국 교섭력 강화와 정책 수행 능력 배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또 기존 연맹이 3개로 각각 있는 것보다는 조직력과 투쟁력이 강화됨으로써 뚜렷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 3개 연맹의 사무처도 통합이 됐는데, 조직간 이질적인 요소들도 있을 것이라고 본다. 사무처 문화는 어떻게 만들 것인가.
“물론 외부에서 우려했던 것처럼 조직간 이질적인 문제가 있기는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조직간 갈등이 빨리 정리되고 있는 시점이다. 각 조직의 사무처가 통합된 사무처에서도 제대로 화합을 이뤄낸다면 연맹이 힘있게 가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모두 그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협조적인 분위기이며, 빠른 시간 안에 화합이라는 그릇 속에 담겨질 것이다. 어떤 문화가 됐든 공공부문 연맹이 해야할 역할에 빨리 접근했으면 한다. 공공부문 종사자들이 바라고 추구하는 부분에 초점을 맞춰 우리의 역량을 극대화시켜야 할 것이다.”

- 한국노총이 산별전환을 추진한다면 공공-제조-운수 등의 영역에서 산별 건설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공공노련의 영향력이 커질 것으로 보이는데.
“(이번 공공부문 3연맹 통합이) 타 조직에 미치는 영향이 적진 않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공공노동자들이 해야할 역할에 충실하고, 공공부문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에게 연맹이 해야할 역할에 충실하면 된다. 통합연맹으로서 빨리 기반을 잡는 것이 더 중요하다. 한국노총 내에서 어떤 목소리를 내기보다는 통합연맹의 결집력 강화에 치중해야 할 것이고, 조직력, 교섭력, 정책 기능 강화 등이 어느 정도 다듬어진 다음에야 생각해 볼 문제이다.” 

- 공공노련 창립발기인대회 때 직선제에 대한 주문이 많이 나왔다.
“직선제 시행에 대한 장단점 등을 분석해 내년 1월말께 열릴 정기대의원대회에 안건으로 상정하겠다. 선거만 제대로 치러질 수 있다면 직선제가 가장 좋은 선거 제도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직선제 때문에 조직 분열이나 갈등이 심화되면 안 될 것이다. 대의원들이 판단할 문제이다.”

- 앞으로 주력할 사업은.
“IMF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공기업 노동자들이 많은 어려움과 아픔을 겪어왔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이제는 공기업도 경영의 자율성을 확보해야 한다. 정부는 감사와 경영평가, 각종 지침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공기업을 심하게 통제하고 있다. 공기업 경영진들이 자기 소신을 가지고 경영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줘야 한다. 노사가 임단협 합의를 해도 정부의 사전·사후 통제로 이행이 안되는 부분들이 있다. 결국 정부가 노사관계를 옭아매고 있는 것이다. 공기업에 대한 정부의 통제를 최소화하도록 투쟁해야 할 것이다. 또 정부도 통합연맹과 성실하게 대화했으면 좋겠다. 궁극적으로는 정부와 직접적이고도 확실한 대화 창구를 마련할 것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