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주부터 일부 부실징후 기업들에 대한 금융지원 및 퇴출 여부가 판가름난다.

22개 은행들은 12일 금융감독원의 부실기업 판정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세부 판정기준을 확정, 금감원에 통보했다. 은행들은 또 부실기업 판정을 심의할 평가위원회 구성도 거의 완료했다.

이에 따라 일부 은행은 이번주 말부터 부실판정 대상 기업을 선정하는 작업을 시작해 이르면 내주 초부터 일부 기업의 지원 및 퇴출여부를 결정할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은 각 은행이 선정할 판정대상 기업은 200개 정도일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금감원 정기홍 부원장은 『은행마다 부실기업 정리 스케줄에 다소 차이는 있지만, 시장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는 중견·중소기업들에 대한 퇴출여부 결정을 내주 초부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금융계에 따르면 퇴출대상기업이 거의 없는 기업은행의 경우 부실기업 정리작업을 다른 은행보다 조기에 마무리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은행들은 개별 기업에 미치는 악영향을 고려해 가급적 처리대상 기업들의 명단은 발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은행들은 그러나 회생 가능성이 불투명한 것으로 소문나 있는 일부 대기업에 대한 퇴출여부는 시장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 이달 말 또는 내달 초에 공개적으로 결정할 방침이다.

금감원 고위관계자는 『채권은행들은 시장에서 나쁘게 소문이 나 있는 일부 대기업의 지원 및 퇴출여부를 결정하는 데 2단계 기업구조조정의 초점을 맞출 것』이라며 『이런 기업을 제외한 다른 기업들은 은행들이 통상적인 여신관리차원에서 부실을 정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각 은행은 이달 말까지 부실징후 기업을 ▲정상영업이 가능한 기업 ▲유동성(자금흐름) 문제가 일시적인 기업 ▲유동성 문제가 구조적인 기업 등 3단계로 분류, 11월 초에 자금지원 또는 법정관리·청산 등 후속조치를 단행할 계획이다.

이와관련, 이근영 금감위원장은 이날 전경련 회장단과의 간담회에서 『부실판정 기준에는 과거의 실적보다 미래의 채무상환능력이 중요하게 반영될 것』이라고 밝혀, 유동성 문제가 가장 중요한 퇴출기준이 될 것임을 시사했다.

이 위원장은 또 『업종별 특성이나 구조조정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손실은 전향적으로 고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