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노동자들의 퇴직연령이 평균 정년인 56.0세보다 1.9세 낮은 평균 54.1세로 파악됐다. 이후 이들은 다른 직장에서 14년간 제2의 근로활동을 벌이다 평균 68.1세에 노동시장에서 완전히 은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8일 내놓은 ‘인구구조 고령화의 경제·사회적 파급효과와 대응과제’ 심포지엄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노동자들은 평균 정년인 평균 56.0세조차 못 채운 채 평균 54.1세에 퇴직한 후 다른 직장을 구해 14.0년간 근무한 뒤 평균 68.1세에 최종적으로 노동시장에서 은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기업에 고용된 임금 노동자의 평균 퇴직연령은 52.3세로 자영업자나 고용주, 무급가족종사자 등 비임금노동자의 평균 56.5세보다 4.2세나 더 빨랐다.
 
성별로는 남성이 평균 54.4세 때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하며 여성은 평균 53.8세로 이보다 빨랐다. 그러나 제2의 근로생애기간은 남성이 평균 12.9년으로 평균 67.3세 때 노동시장에서 은퇴하는 반면 여성은 평균 14.5년에 달해 남성보다 1년 늦은 평균 68.3세 때 일을 그만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0~54세 이전 퇴직 비율이 남성 47.72%, 여성 49.63%로 나타나 성별에 관계없이 거의 절반 가까이가 50대 중반 이전에 퇴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남성의 연령별 퇴직시기는 △55~59세 21.09% △60~64세 18.87% △65~69세 7.77% △70~74세 2.59% △75세 이상은 1.97% 등이었으며 여성은 △50~54세가 49.63% △55~59세 17.39% △60~64세 17.69% △65~69세 6.60% △70~74세 6.0% △75세 이상 2.7% 등으로 남성보다 조기에 퇴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자료는 한국노동패널(KLIPS) 부가조사 자료와 노동부 조사자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보고서 등을 토대로 작성됐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