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들의 장기파업으로 대학병원의 진료가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의료계가 6일 또다시 총파업에 돌입, 환자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불법 의료기관과 의사들에 대한 본격적인 행정적, 사법적 조치에 착수하는 한편 의료계와 사태 해결을 위한 협상도 계속하는 등 강공 양면책을 동원하고 있다.

전국 병. 의원들은 의사협회 의권쟁취투쟁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이날부터 총파업에 돌입, 동네의원의 76.9%(보건복지부 집계)가 문을 닫았고 병원들도 응급 및 입원환자를 제외한 외래환자 진료를 중단했다.

특히 그동안 투쟁에 참여하지 않았던 중소병원 의사들이 파업에 가세하는 바람에 진료공백이 가중됐다.

이에 따라 진료중인 국공립병원과 보건소, 중. 대형병원 응급실 등은 환자들이 몰려 혼잡을 빚었다. 그러나 응급실, 중환자실,분만실,입원실에서는 진료가 유지되고 환자들도 총파업 소식에 병원 방문을 자제해 의료대란으로 이어지지는 않았다.

대한약사회는 의료계 총파업이 강행됨에 따라 이날부터 원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처방전이 없더라도 1일분에 한해 직접 조제투약을 해주기 시작했다.

정부는 이날 최인기(崔仁基) 행정자치부장관 주재로 복지, 법무,교육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열고 불법행위 의료기관과 의료인에 대해 영업정지, 면허정지 등의 행정처분과 함께 사법조치에 본격 나서기로 했다.

한편 복지부와 의사협회가 이날 오후 8차 회의를 열고 심야협상을 계속했고 의협 의쟁투가 7일 파업의 기간과 수위에 대해 다시 논의키로 해 이번 총파업이 단기간에 끝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복지부는 국공립병원과 지역거점병원 응급실을 중심으로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 2백여명을 추가 배치하는 등 비상진료체계를 강화하고 1339응급의료정보센터,119 긴급전화 등을 통한 정상진료 병. 의원 안내에 들어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