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 당직자들이 노조 결성을 준비하다 때 아닌 ‘복병’을 만났다. 당초 노조를 준비하던 당직자들은 노동관계법에 따라 창립총회를 하고, 서류를 준비해 구청에 신고만 하면 간단한 일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복병’은 안에 있었다.

일부 당직자들이 노조 결성에 부정적 입장을 보인 것. 이들 주장의 요지는 “세상을 바꾸자는 정당운동을 하는 활동가들이 도대체 누구를 상대로 노조를 한단 말인가”라며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특히 노조 가입 대상을 지역조직 상근자까지로 확대하려하자 일부 지구당위원장 등도 “자본주의를 극복하자는 운동을 하는 이들이 자본주의에서 나타나는 노조를 하겠다는 게 말이 되느냐”고 반대 대열에 가세했다.

이런 논란이 거듭되자 노조 추진세력(?)은 20일 오후 중앙당 회의실에서 당직자 회의를 가졌다. 역시 이 자리에서도 논란은 평행선을 달렸다.

노조에 찬성하는 한 당직자는 “비정규직 차별철폐를 말하는 민주노동당이 당직자에게는 4대보험 적용도 하지 않고 있으며, 노동자의 경영참여를 말하면서도 지도부는 인사권을 쥐고 기준과 원칙도 공개하지 않았다”며 “노조는 당의 이런 아픈 부분까지 드러내면서 내부에서부터 민주적 질서를 다지자는 노력”이라고 주장했다. 다른 당직자는 “개인의 희생과 봉사 속에서 운동이 성장해 온 것은 사실이지만, 희생과 봉사는 어쩔 수 없는 현실에서의 선택이었다”며 “마치 이를 운동의 미덕처럼 여기는 풍토는 구태이자 극복대상”고 강조했다.

민주노동당의 노조결성 움직임이 ‘운동의 고질병’을 고치려는 자성의 몸부림인지 변질인지 규명하는 일은, 민주노동당의 몫만이 아닌 듯 하다.

조상기 기자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