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가 올해 임단협에서 비정규직 보호와 차별해소 문제를 적극적으로 제기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기업 대부분이 이같은 요구를 수용할 의사가 없을 뿐 아니라 오히려 비정규직을 더 늘리고 고용조건도 악화시킬 계획인 것으로 조사돼 노사갈등이 격화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전경련이 205개 주요 기업을 대상으로 올해 노사관계에 대한 전망과 주요 쟁점에 대한 의견을 조사해 6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기업들의 61%가 비정규직과 관련 ‘현재의 시스템을 유지하겠다’고 응답했다.

또한 노동계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외주(outsourcing)를 늘리겠다’는 응답도 41.7%를 차지한 반면 계약직의 정규직 전환을 추진하거나 사내하청 및 파견근로자의 사용을 억제하겠다는 기업은 각각 모두 6.6%에 머물렀다.(복수응답)

더구나 전체 응답기업의 25.8%가 ‘정규직은 줄이고 계약직이나 외주는 늘릴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15.9%는 ‘계약직을 축소하고 외주로 전환하겠다’고 밝히는 등 고용조건을 더욱 악화시킬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격차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도 계약직의 임금인상을 정규직보다 높게 책정한다는 기업은 1.1%로 극히 저조했다.
이와 함께 올해 7월부터 법적용을 받는 주5일제에 대해서도 기업들의 입장이 노동계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도입시기와 관련해 기업들의 68.1%가 ‘법개정 내용대로 도입시점을 정하겠다’고 응답했으며 ‘법적용 시점보다도 앞서 근로시간 단축을 실시하겠다’는 기업은 12.2%에 불과했다. 또한 법대로 기존 연?월차 휴가를 축소할 예정인 기업이 58.5%로 조사됐으며 토요일 근무시 별도의 유급휴일 수당을 지급하지 않겠다는 기업도 31.9%로 나타났다.

반면 별도의 유급휴일 수당을 지급하는 기업과 근로시간 단축으로 시간급 통상임금을 인상하는 기업은 각각 4.8%와 3.7%에 불과했다.

이에 따라 기업들도 올해 노사갈등이 예년보다 더 불안해질 것(54.2%)으로 내다보고 있으며 불안요인으로도 ‘근로시간 단축문제’(84.4%)와 ‘비정규직 문제’(75.4%)를 가장 많이 꼽았다.

한편 전경련은 노동계의 산별노조 건설 및 산별교섭 추진에 대해서도 각종 세미나 개최 등을 통해 ‘산별교섭의 비경제성’과 ‘교섭의 분권화’를 적극 알려나갈 계획이라고 밝혀 이를 둘러싼 노동계의 반발도 거셀 전망이다.

김재홍 기자(jaehong@labornews.co.kr)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