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이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BCT업체와 시멘트 제조업체로 구성된 한국양회공업협회, 그리고 산자부가 파업장기화의 주범이라는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21일부터 시작된 화물연대 파업의 결정적 빌미를 제공했다는 지적과 함께 양회협회는 파업대책 태스크포스팀을 만들어 산자부 출입 기자들에게 취재비를 지원하려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양회협회의 TF논란=본지가 지난 28일 저녁 입수한 27일자 '시멘트업계 운송정상화 발표' 산자부 보도자료에는 "화물연대 운송거부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TF팀을 구성, 시멘트 업계의 입장 대변 및 원만한 해결을 위해 노력한다"는 내용의 양회협회 문건이 첨부돼 있었다.

이 문건을 보면 양회협회 상무이사와 기획팀장 등 4명이 팀을 구성해 운송거부에 비판적인 여론 형성을 위해 대언론 홍보대책을 마련해 시멘트업계, 정부 및 운송사업자와 긴밀한 협조체제를 지속한다고 돼 있다. 특히 업계의 입장홍보 및 정확한 보도를 위해 일간지 및 경제지 기자 20명에게 30만원씩 총 600만원의 취재지원비를 소요예산에 포함시켰다.

이에 대해 화물연대는 "업계와 정부, 언론이 결탁해 복귀율을 조작해 온 증거"라며 반발하고 있다. 화물연대는 "산자부는 민간협회인 양회협회의 자료를 보도자료 형태로 뿌려왔다"며 "사실확인도 되지 않은 일방적 주장을 정부부처의 공문서에 첨부함으로써 스스로 신뢰를 떨어뜨렸다"고 주장했다.

화물연대는 또 "현장 취재도 하지 않은 채 산자부 발표만을 앵무새처럼 보도한 일부 언론사에도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한국양회공업협회 측은 "지난 27일 시멘트운송 정상화 성명서 파일을 산자부에 보내면서 직원 실수로 문제의 문건도 같이 전달됐다"며 "지난 25, 26일께 상부의 파업대책 지시로 직원이 내부 문건을 만들기는 했으나 TF팀을 구성한 적은 없다"고 주장했다. 협회 관계자는 "기자들에게 촌지를 줬다는 일부 주장도 사실무근"이라며 "문건에 나온 취재지원비는 기자들이 생산현장 취재를 요구할 경우에 대비해 작성한 관광버스 대절 등의 소요예산"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 내부 문건에는 TF팀을 20일 이후부터 파업종료시까지 운영한다고 나와 있어 25일께에 파업대책 수립을 지시했다는 협회 관계자의 말은 설득력이 떨어지고 있다.

이에 대해 산자부 관계자는 "문제의 보도자료는 양회협회의 시멘트수송 정상화 선언 사실을 발표하는 참고자료"라며 "양회협회 직원의 실수로 일부 자료에 잘못된 내용이 나갔을 뿐 산자부가 협회 보도자료를 대신 내주는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산자부에 출입하고 있는 한 일간지 기자는 "산자부와 협회측이 파업대책을 조율했다는 짐작은 가지만 그대로 집행된 사실은 확인할 수 없다"며 "협회측이 금액을 제공하려한 적은 없고 다른 출입기자들도 마찬가지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파업사태 주범은 산자부?=화물연대 파업초기부터 한국양회협회와 산자부는 파업 빌미를 제공했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양회협회의 경우 BCT업체와 화물연대간의 집중교섭 기간 동안 교섭당사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협상에서 한발짝 물러나는 자세를 보였다. 그러나 BCT 업체가 산별협약체결, 표준요율 적용 등에 대해 협회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고 밝히는 등 사실상 교섭에 직접개입해 왔다는 비판을 받았다.

화물연대가 파업에 돌입한 21일에는 "화물연대의 산별협약체결 주장을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성명서를 내기도 했다.
특히 파업돌입 하루 전날 열린 교섭에서 BCT업체는 요율인상안을 내놓지 않은 채 화물연대와의 교섭을 거부해 화물연대를 자극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업체에서 화물연대의 교섭대표성마저 부정할 줄은 몰랐다"며 "당시 업체가 1%의 인상안이라도 제출했더라면 화물연대가 당장 파업에 돌입하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업체의 갑작스런 교섭거부도 양회업체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산자부도 자율 교섭만을 강조하며 양회협회와 BCT업체들이 교섭에 적극적으로 나서도록 하는데 소홀했다는 지적이다.

민주노총은 "대화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었던 화물연대 파업이 정면대결로 가게 된 가장 큰 이유는 TF팀 소동의 당사자인 산자부와 양회협회로 대표되는 강경파들의 강경몰이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김학태 기자(tae@labornews.co.kr)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