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스컨신노사정협력모델이란?

위스컨신주 노사정협력모델은 지역차원에서 빈곤문제를 해결하고, 기업차원에서는 숙련 노동력을 양성해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는 업종별 협력 모델이다. 1992년 미국 위스컨신주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이 제도는 노동계와, 지방자치단체 등과 사용자쪽이 업종별로 협력해 실업자와 노동자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직업훈련과 취업지원제도를 만들어 내 실질적으로 큰 성과를 거두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주정부와 직업훈련기관, 업종별 노사대표 등 지역경제와 관련있는 이해 당사자들은 먼저 노동시장개혁위원회를 구성해 지역차원의 협력모델을 제도화했다.

이 모델의 가장 특징적인 점은 개별기업이 아니라 업종별로 직면한 공통의 문제를 함께 해결한다는 점이다. 노조와 사용자는 업종단위로 재편성돼 노사협력체를 만들고 이 협력체는 공공부문과 직업훈련기관을 통해 공동으로 교육훈련과 취업알선 등의 사업을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노조는 사업장별로 노동자들의 직업훈련 요구를 수용하는 한편, 업종별회의에서 같은 업종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요구를 수렴해 지역사정에 맞는 직업훈련의 내용을 파악해 직업훈련학교 등에 훈련과정 개설을 요청한다. 주정부와 공공부문도 이런 활동을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지역별 업종별 노동시장정보를 제공하는 데 앞장섰다.

이런 과정에서 제도화된 주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 위스컨신지역 훈련파트너쉽 프로그램(WRTP):위스컨신 모델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생산현장의 숙련기술에 대한 미래수요를 조사하고 대학과 기업간 연계망 형성, 업종별 숙련기준 마련, 현장교육훈련 프로그램 마련 및 실시 등의 사업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1992년에 밀워키지역에 있는 46개 기업의 사용자와 이들 기업의 5만여명의 노동자이 주축이 돼 시작된 이 프로그램은 제조업에서 시작돼 보건의료분야, 사회서비스분야, 금융·보험업 등 다른 업종으로 확산됐다.

◇ 미래의 희망이 있는 일자리 지원사업(Jobs With a Future):서비스산업의 업종별 협력 프로그램 가운데 대표적인 사업으로 저임금의 비정규직 노동자들에게 직업훈련을 시켜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했다. 90년대 중반부터 위스컨신주에는 서비스산업의 고용비중이 해마다 2∼4%씩 증가해 이 부문에서 일하는 종업원들의 기술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주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금융업에서 일하는 노동자의 3분의 1 이상이 비정규직이어서 이들은 낮은 임금과 고용불안정에 대한 불만으로 자주 일자리를 옮기거나 실업자로 전락하곤 했었다. 이 지역 12개 금융기관 경영진들은 노동자와 협의해 “종업원의 작업능력 향상을 위해 투자하고 이들의 고용이 유지될 수 있게 하라”(Invest and Keep)”는 슬로건을 내걸고 다양한 사업을 실시했으며, 이 과정에서 금융기관 협력프로그램을 마련해 조직개편과 기술훈련체계에 관한 정보를 공유했고 공동직업훈련을 실시해 실무능력을 갖춘 정규직을 기업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데 기여했다.

◇ 밀워키 직업훈련 및 취업알선제도:도시의 저소득층 주민을 대상으로 업종별로 지역내 사회단체 및 공공직업훈련기관과 협조해 구직자를 발굴해 직업훈련과 함께 취업알선을 해주었다. 이들은 특별한 기술이 없어 취업하기 힘들었으며 취업한 경우에도 낮은 임금과 열악한 근로조건에서 일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될 수밖에 없었으나 이 프로그램을 통해 실질적인 혜택을 볼 수 있었다.

하위 20%의 소득수준을 주별로 비교하면 위스컨신주는 이 프로그램이 실시되기 전인 1989년에는 전국에서 29위(시간당 6.59달러)였으나 1998년에는 12위(시간당 7.62달러)로 뛰어올라 이 프로그램이 큰 성과를 거두었음을 입증했다.

오상석 기자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