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중공업이 지난해 47일간의 장기파업으로 엄청난 출혈을 한데 이어 올초 발생한 노조원 분신사망사건으로 경영에 또 한차례 큰 타격이 불가피하게 됐다.

사측은 "지난 9일 발생한 노조원 사망사건 이후 금속노조 등 상급단체의 개입에 따른 사태 장기화 및 노동계 확산으로 이번 사안을 조기에 수습하지 못하면 올해 경영에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사측에 따르면 지난 99년 민영화 관련 48일 장기파업과 지난 2001년에는 소사장제 도입과 관련 41일 파업, 지난해 집단교섭 문제를 둘러싼 47일간 파업 등 4년간 장기파업에 시달렸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측은 "연간 수주액의 60~70%를 해외에서 수주(연간 15~18억달러 가량)해야 하는 플랜트 수출업체로 최근 해마다 계속된 파업으로 현재 해외 발주처들로부터 기업신인도가 크게 떨어진 상태"라고 밝혔다.

특히 프로젝트 수주에 의존하는 플랜트산업의 특성상 세계적으로 미국과 중동등 발주처가 한정돼 있고 이들 발주처들도 현 사태를 곱지 않은 시선으로 주시하고 있는 것도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실제 지난해 장기파업 이후 회사 내에 있던 미국의 GE사무실이 외부로 이전했고 아랍에미리트 수전력청으로부터 수주가 유력시 됐던 7억달러 규모의 해수담수화 플랜트의 수주상담이 취소되기도 했다.

사측은 "외부 노동계 개입으로 사태가 장기화된다면 회사는 물론 지역.국가경제에도 큰 타격이 불가피한 만큼 더이상 경영의 발목을 잡지말라"고 말했다.

이에대해 노조는 "노조의 파업으로만 경영에 심각한 타격을 입은 것처럼 매도하는 행위를 즉각 중단하고 전향적인 사태해결 의지를 보일 것"을 요구했다

편집부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