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제에 대한 새경제팀의 입장이 유연과 강경쪽을 오가다 초강경으로 급선회했다. 특히 입장정리의 방법과 형식이 극히 이례적으로 받아들여지면서 현대문제가 김대중 정부 집권 후반기 재벌개혁의 강도와 방향을 가늠케 하는 신호탄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있다.

개각직후 새 경제팀의 현대사태에 대한 입장정리에는 적어도 2∼3일은 걸릴 것으로 예상됐다. 또 형식도 새 경제팀과 청와대 비서실간의 조율을 통해 윤곽을 드러낼 것이라는 게 대체적 관측이었다. 그러나 이 같은 추측은 빗나갔다. 김 대통령이 비서실을 통한 간접대화 형식이 아닌 개각 후 첫 국무회의라는 직접적인 방법으로 진념 신임 재정경제부 장관을 비롯한 새경제팀에게 “금주 내에 현대문제를 해결할 것”을 지시한 것이다.

김 대통령은 특히 “현대문제 해결을 통해 새경제팀의 능력을 검증받도록 하라”고까지 말했다. 현대문제에 대한 김대통령의 직접 개입은 경제운용과 관련, 김 대통령이 전면에 나설 것임을 예고하는 동시에 현대문제 해결과정을 통해 새경제팀의 능력을 평가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되고 있다.

김 대통령이 이례적으로 국무회의 석상에서 현대문제를 언급하면서 ‘지속적인 개혁’을 강조한 것은 새경제팀의 색깔을 놓고 연성내각이 아니냐는 여론의 부담도 어느 정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경위야 어찌됐든 김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집권 후반기를 맞는 김 대통령의 집권 구상, 특히 연말까지로 예정돼 있는 기업구조조정에 대한 실천의지와 그 강도를 시사하고 있다.

현대문제는 이제 더 이상 현대만의 문제가 아니라 김 대통령의 집권후반기전체 재벌개혁의 ‘시금석’이 됐다는 얘기다.

정부는 이미 지난 7월말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올 하반기 경제정책의 핵심과제가 재벌개혁임을 예고한 바 있다. 정부가 마련한 ‘2단계 기업구조조정 추진방안’에는 금융감독위원회에 기업의 불법·부당거래를 조사할 수 있는 계좌추적권 및 현장강제조사권 부여, 공정거래위원회의 계좌추적권 연장 등 굵직굵직한 내용들이 대거 포함돼 있다.

특히 정부는 법무부가 세계은행(IBRD)의 지원을 받아 마련한 기업지배구조개선에 관한 용역결과를 토대로 소수주주권과 이사회의 기능을 대폭 강화키로 하고 올 정기국회에서 상법, 증권거래법, 공정거래법 등 관련 법률을 개정할 방침이다.

따라서 정부는 이미 재벌개혁을 위한 ‘청사진’을 마련해놓고 있으며 현대문제는 정부의 재벌개혁의지를 가늠케하는 첫번째 리트머스 시험지가 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진 장관이 8일 취임 후 처음으로 열린 간부회의에서 도덕적 해이에 빠진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기업 경영인들에게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제도적 개선책 마련을 실무진들에게 독촉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해석된다.

정부는 단순한 금융시장 불안해소 차원을 넘어 집권 후반기 재벌개혁에 대한 청사진에 따라 현대를 죄어가고 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