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파업이 백일을 넘기자, 정부는 공권력을 투입하겠다고 하고 시민단체들은 무조건적인 공권력 투입이 능사가 아니라며 반발하고 있다.

물론 병원 파업으로 환자들이 어려움을 겪는 것은 부인할 수 없지만, 공권력 투입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고 어느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전례대로 ‘파업∼공권력투입∼저항∼구속’ 이란 악순환으로 이어질 게 뻔하다.

군사정권 시대처럼 노동자 쪽 주장을 무시한 채 사용자 쪽 견해만 좇아 공권력으로 노동자들을 탄압하고, 이에 노동자들이 수십미터 높이의 골리앗크레인에 올라가 목숨을 건 치열한 투쟁을 하던 시대는 지났다. 노와 사가대화와 협상으로 더디고 어렵지만 차근차근 해결점을 모색해나가는 자세가 필요하고, 정부는 그렇게 이끌어야 한다. 그런데 정부는 여전히 공권력 투입의유혹을 뿌리치지 못하고 그 칼날을 벼르고 있는 것이다.

이번 파업의 배경에는 아이엠에프 이후 가장 큰 노사문제가 된 임시·계약직 등 고용불안에 대한 노조의반발이 있다. 비단 이 문제가 몇몇 병원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고 모든 사업장에 관련된 문제라고 할 때, 노사의 대화와 협상에 의한 해결책이 모색되지 않고 극한대결 상황으로 치닫는다면 이런 파업이 계속 발생할 수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사회적 관심으로 인식되어야 하는 이유다. 그런데 정부는 이 문제의심각성을 인식하고 해결하려는 노력 대신에 지금껏 수수방관만 하고 있다가 파업백일을 넘겼다고 공권력을 들이밀려고 하는 것이다.

그래서 나는 주장한다. 올 12월 대선의 주인공인 대통령 후보들이 직접 이 문제해결에 나서라고. 후보들 중에는 12월 대선의 승리자가 되어 청와대의 새 주인이 될 사람이 있다. 봉황이 새겨진 그 자리에 앉는 순간부터 5년간 지금의 노사문제보다 더 어려운 국제, 외교문제를 처리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부터 이런 갈등의 현장에서 노와 사의 견해와 주장을 허심탄회하게 들어보고 해결책을 제시하여 노와 사, 그리고 국민을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장에 직접 뛰어들어 대화와 타협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소신 있는 국정의 최고 책임자가 필요한 것이다.

우리는 사진 몇장 찍으려고 수해현장에서 몇 분 정도 시늉이나 하는 대통령보다 대립과 갈등의 현장에 직접 나서서 몇 시간이고 며칠이고 함께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대통령을 보고 싶다. 다시 말해, 국민이 즐거워하는 장소에서 같이 웃어주는 대통령보다 갈등과 고통의 현장에서 땀방울을 흘리며 최선을 다하는 대통령을 보고 싶은 것이다.

신병륜 부산시 수영구 광안2동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