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부터 시행된 은행권의 주5일 근무제에 대해 재계가 경제단체를 통해조직적으로 반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주5일 근무에 따른 애로 및불편 해소대책을 세워주지 않으면 토요 휴무를 하지 않는 우체국이나 외국계 은행으로 주거래 은행을 바꾸는 것도 불사하겠다는 것이다. 재계의 이같은 ‘실력행사’ 가 현실로 나타난다면 금융시장은 물론 실물경제에도 큰 파장을 몰고올 것으로 우려된다.

재계는 노·사·정 합의 및 법개정 없이 은행권이 단독으로 주5일 근무제를 도입하는 데 대해 처음부터 강력 반대했다. 기업, 특히 중소기업의 불편과 부담이 크다는 게 이유였다. 이에 따라 재계는 그동안 ‘노·사·정합의 후 주5일 근무제 도입’ 을 제시하며 ‘시기상조론’을 주장해왔다. 또은행권에는 토요 휴무에 따른 불편 해소대책을 마련해줄 것을 요구했다. 토요일에 문을 여는 거점점포의 확대와 기업금융업무 취급, 금요일 마감시간연장 등이 골자다. 그러나 이같은 재계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서 갈등이 깊어지고 있는 것이다.

재계는 토요 휴무에 따른 애로와 불편사항으로 어음결제 및 수금 지연에따른 자금난 가중, 긴급자금 확보 곤란, 추가비용 부담 등을 꼽고 있다. 재계의 이같은 ‘답답한 사정’ 은 충분히 이해할 만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거래를 끊겠다는 식의 압력을 넣어 요구를 관철하려는 것도 문제가 있다.

양측은 서로의 입장에서 생각해보고 대화로 문제를 푸는 게 순리다. 우선 은행권이 고객인 재계의 어려움과 불편을 적극 해소한다는 자세로 대책마련에 나서야 한다. 공공성이 강한 은행권이 기업들의 애로를 외면해 문제가 생긴다면 이는 나라경제에도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재계도 하루 빨리주5일 근무제 도입과 관련해 노동계와 대타협을 꾀해야 한다. 토요 휴무제는 이미 세계적 추세이며, 국내에서도 돌이킬 수 없는 대세가 아닌가.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