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이 투쟁지도부로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하고 오는 24일 대의원대회에서 비대위의 구성을 완료하기로 함에 따라 이번 노정합의서 사태에 따른 내부혼란에 대해 수습 국면으로 들어섰다.

이번 중앙위에서는 비대위 성격과 관련해 선거비대위냐 투쟁비대위냐를 놓고 논란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당면투쟁을 조속히 조직하기 위해 투쟁비대위 쪽으로 중앙위원들이 의견을 모았으며 논란이 된 비대위 구성방안 등에 대해서는 대의원대회에서 처리하기로 것으로 정리했다. 또한 상반기 투쟁을 마치고 하반기 사퇴임원들에 대한 보궐선거를 실시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민주노총은 투쟁지도부로서의 역할에 걸맞는 비대위를 구성해야 하는 것과 비대위 구성 이후 발전소 민영화 저지, 노동조건 후퇴없는 주5일근무제 쟁취, 공무원노조 합법화, 임단협 시기집중 투쟁 등 상반기 투쟁과제들을 시급히 재조직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또한 단위원장 구속과 나머지 임원의 전원 사퇴로 인해 비대위 위원들은 실질적인 민주노총 임원의 역할을, 비대위 위원장은 민주노총 위원장 직무대행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상황이어서 비대위 구성방안은 대의원대회에서도 논란이 될 것 전망이다.

■ 비대위원 구성과 위원장 선출 과제로 남아
특히 비대위 위원장과 관현, 한 연맹 위원장은 "비대위 위원장은 여러 사람들이 합의추대해서 모두가 힘을 실어 나가야만 한다"며 "그러나 임단협을 앞두고 있는 각 연맹 사정 등으로 쉽지는 않을 것 같다"고 전망했다. 중앙위원회장에서도 전교조 이수호 위원장과 금속산업연맹 백순환 위원장이 비대위 위원장으로 거론됐으나 모두 고사했다. 특히 백위원장은 "지난 금속연맹 선거에서 부위원장들도 다 선출하지 못한 상황이어서 비대위 위원장을 맡기에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크다"고 밝혔다.


또한 비대위 구성에 있어서도 임시 비대위처럼 중앙집행위원회가 비대위로 전환하는 것은 투쟁지도부로서의 비대위 성격에 걸맞지 않다는 문제가 제기돼 논란이 이어질 전망이다. 이와 관련 비대위 위원을 대공장노조 등으로 확대해 향후 투쟁에 대한 책임감을 높이는 방향이나 민주노총 임원수인 8명 내외로 축소해 집중력을 높이는 방안 등이 함께 고민될 것으로 보인다.

■ 중앙위에서의 논란 대의원대회로 이어질 가능성 커
이처럼 중앙위원회에서 비대위 구성문제를 마무리 짓지 못하고 오는 24일 대의원대회로 미뤄지게 됨에 따라 조직적 부담도 안게 된 것이다. 특히 비대위가 구성될 대의원대회 때까지 민주노총의 지도부 공백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비대위 구성 방안과 비대위 위원장 선출 문제 등 중앙위원회에서의 논란이 대의원대회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대의원대회에서 이번 사태와 관련해 대의원들로부터 현장의 불만이 다시 한번 강하게 제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한편 산별연맹 위원장과 지역본부 본부장들로 구성된 임시 비대위는 오는 16일과 17일 회의를 통해 비대위 구성과 향후 투쟁계획 등을 논의할 계획이어서 논의결과가 주목된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