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노조 파업 합의문과 총파업 철회와 관련, 민주노총이 심각한 내홍에빠져들고 있다.

민주노총은 4일 이례적으로 조합원들에 대한 사과문을 발표, “2일 총파업을 앞두고 파업유보 지침을 내려 투쟁의 혼선을 초래했다”며 “또 합의안에 노사화합선언 등 오해할 수 있는 표현이 있고, ‘불법’ 운운 내용이걸러짐없이 나타나 그동안 지켜온 원칙들이 공격당할 소지가 있었다”고밝혔다.

민주노총은 이어 “발전 조합원들을 비롯한 민주노총 각급 조직의 구속및 수배, 해고, 손배소송 등 피해를 최소화함으로써 조합원을 보호해야 하는 점에서도 미흡했다”며 “민영화부분에 대해서도 애매한 문구로 ‘민주노총이 민영화에 동의했다’ 고 왜곡할 수 있는 빌미를 줬다”고 덧붙였다.

사과문 발표는 물론 발전노조 파업 타결이후 노조원들의 들끓는 여론을가라 앉히기 위한 것. 지도부가 총사퇴하는 초강수를 던졌어도 노조원들의거센 비난이 멈추지 않자 내놓은 고육지책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민주노총 관계자는 현 상황을 “출범 이후 최대의 위기 국면”이라고 표현했다.


민주노총에 쏟아지는 비판의 골자는 ▦정부의 민영화 방침 사실상 수용▦불법파업 자인 ▦발전노조원 징계 인정 등. “집행부가 목숨을 부지하기위해 발전 노조원들만 피해자로 만들어 버렸다”는 원색적 비난도 가세하고 있다.

민주노총 내부에서도 “2일 부분적이라도 총파업을 강행했어야 했으며, 그러지 않다면 처음부터 발전노조와 연계하지 말았어야 했다”는 등 전술과 전략에서 정부에 완패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반면, 민주노총의 합의안 타결과 총파업 철회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었다는 현실론도 만만치 않다. 총파업이라는 마지막 카드를 내놓았지만 참가예상인원이 많지 않았던 데다, 이튿날인 3일 3,900여명의 발전노조원에 대한대규모 해고가 예정돼 있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선택이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지도부가 사과문을 통해 공개적으로 과오를 인정함으로써 이러한의견은 입지가 크게 좁아졌다.

민주노총은 8일 중앙위원회를 열어 총사퇴 이후의 새 지도부 구성 등을논의할 예정이나, 현재의 분위기로 보아 당분간 강경파가 크게 힘을 얻을전망이다.

이 경우 지방선거 등을 앞두고 노동계의 정치적 입지 확보와 주장 관철을위해 적극적인 대정부 투쟁방식이 재연될 가능성이 높다. 총파업 철회로한숨 돌린 노정과 노사간에 다시 긴장감이 감도는 이유이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