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 노조 파업 사태가 극적으로 타결돼 정면 충돌 위기에 있던 정부와 노동계가충돌 직전 가까스로 브레이크를 밟았으나 앞으로 노정관계는 순탄치 않을 것으로전망되고 있다.

파업 과정에서 노동계와 정부 사이에 쌓인 앙금이 여전히 남아있는데다 노조지도부와 조합원에 대한 회사쪽의 징계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이 과정에서 또 다른갈등이 빚어질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밤샘협상까지 강행하며 총파업 예정 시각 직전에 극적 타협에 이를 수 있었던것은 총파업이 노사 양쪽에 모두 부담스러운 것이었다는 점이다. 총파업에 이어3일 사쪽의 무더기 해고와 명동성당에 대한 경찰 투입으로 이어질 경우 월드컵 등주요 국제행사를 앞둔 정부쪽도 크게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또 이제까지전력수급에 문제가 없었다고는 하지만 파업사태가 장기화하고 노정이 격돌할 경우, 정부로서는 전력대란 가능성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한편 총파업이라는 마지막 카드까지 꺼내든 뒤 정부와 극한 대립을 해야하는민주노총쪽도 부담스럽기는 마찬가지였다.

이미 340명이 해고된데다 조만간 3천명이 넘는 대규모 해고가 예고된상황이었고 노조 간부 등에 대한 재산 가압류 등 정부의 총공세가 계속되었기때문이다. 이와 함께 총파업에 돌입하게 되면 일선 사업장에서 사쪽의 고소고발과손해배상 소송이 잇따를 것으로 예상돼 부담은 더욱 커질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민주노총 입장에서는 무엇보다 정부의 강경대응에 맞서산하 노조와 조합원을 최대한 보호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어서 받아들이긴힘들지만 파업을 철회하는 수순을 밟을 수 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런사정을 잘 알고 있는 정부는 처음부터 민주노총의 총파업을 불법으로 규정하고엄중 대처하겠다는 입장을 밝힌데 이어, 명동성당에 경찰을 투입하겠다는 것을언론에 흘리는 등 범정부적인 압박작전을 펴 결국은 민주노총쪽을 협상테이블로끌어냈다.

이번 합의 내용을 보면 일단은 정부의 초강경 대응에 밀려 노조쪽이 손을들었다는 평가가 일반적이다.

정부쪽은 이와 관련 “정부가 원칙을 끝까지 지켜냄으로써 `법과 원칙'에바탕을 둔 노사관계가 정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반면 민주노총쪽은 “발전 노조의 장기파업으로 정부의 무리한 민영화추진의문제점이 공론화됐다는 점”을 성과로 꼽고 있다.

그러나 이번 협상타결 내용에 대해 발전노조 집행부 내부의 반발도 만만치 않은것으로 알려져 앞으로 노정갈등과 함께 민주노총 내부에서도 이 문제를 정리하는데 상당한 갈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합의문 내용 가운데 파업참가조합원 처리 문제 등에 대한 합의내용이 모호하게 돼있어 그 해석을 둘러싼 이견이 발생할 우려도 제기된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