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수도권 경제력 집중화 현상이 2015년 이후 더 심화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5일 ‘지역경제보고서 이슈분석’을 통해 전국 생산에서 수도권 비중이 처음 50%를 넘은 2015년을 기준으로 2001~2014년과 2015~2022년 지역별 경제적 성과를 비교 분석했다.

수도권의 전국 경제성장률 기여율은 70%를 넘어섰다. 우리나라 경제성장세가 둔화한 가운데 서울·경기 등 수도권은 2015년 이후 성장률이 이전과 비슷하거나 소폭 하락한 반면, 비수도권 다수 지역은 성장률이 3%포인트 이상 큰 폭으로 하락했다. 이에 수도권의 전국 경제성장률에 대한 기여율은 51.5%에서 2015년 이후 70.1%로 상승했다.

두 지역 간 성장률 격차는 주력 제조업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서는 진단했다. 수도권은 생산성이 높은 반도체 등 첨단 전자부품 산업을 중심으로 제조업 성장세를 이어 갔다. 반면에 비수도권은 자동차, 화학제품 및 기계 산업 등이 중국과의 경쟁 심화, 생산성 하락 등으로 성장세가 크게 둔화됐다는 설명이다. 서비스업의 지역간 성장률 격차는 2015년 이후 축소됐다.

광역시 이상 대도시와 도지역 간 소득격차는 줄었다. 도지역의 경우 생산 둔화의 영향이 기업 이익 둔화로 나타났고 코로나19 이후 정부의 대규모 이전지출에 따른 재분배 수혜도 상대적으로 도지역에서 더 컸기 때문이다. 그러나 소비수준 격차는 오히려 확대됐다. 청년인구의 대도시 이동에 따른 인구고령화 가속화, 소비 인프라 부족 등으로 도지역의 평균소비성향이 대도시보다 더 크게 하락했다.

한국은행 조사국 지역연구지원팀의 이예림 과장은 보고서에서 “저출산 등 우리나라 구조적 문제들이 수도권 집중화와 관련된 만큼 이를 해결하기 위해 비수도권 지역의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다각적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한편 한국은행의 ‘지역경제보고서(2024년 3월)’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지역경제는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제조업 생산은 자동차 및 부품 감소에도 반도체 증가에 힘입어 소폭 증가했다. 서비스업은 금융·보험업과 운수업이 증가한 반면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은 감소하는 등 산업별로 엇갈리며 보합세를 나타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