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산업노조(위원장 이호동)는 발전소 매각 철회, 단협 체결 등 주요 쟁점에 어느 것도 뚜렷한 윤곽이 보이지 않는다며 25일 파업이 점차 가시화 되고 있다는 판단이다.

■ 교섭 난항 = 우선 발전소 매각은 올해부터 추진한다는 다소 추상적인 계획만 있을 뿐 아직 본격화되지 않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발전, 철도, 가스 민영화 문제를 놓고 양대 노총이 적극 나서고 있는 노-정 교섭도 현재 쉽게 가닥을 잡지 못하고 있어 해결 움직임이 더딘 상태다.

여기에 발전산업노조의 첫 단협 체결을 위한 교섭도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노조는 18일 회사와 열흘만에 대화 자리가 마련됐으나 본격적인 교섭도 하지 못한채 끝이 났다. 노조 한 관계자는 "본 안을 논의하기도 전에 근태협조 등 '단협기본합의서'를 놓고 의견이 대립됐다"며 "회사는 아직도 사태를 해결할 의지가 전혀 없이 파국으로 몰고 있다"고 말했다.

발전노사는 지난해 10월부터 10차례 교섭을 벌였지만 노조가 제시한 160여개 요구안 중 10여 개만 의견 절충이 있었을 뿐 노조 전임자 문제 등 조합활동 부분도 해결이 안된 상태다. 이에 따라 노조는 파업을 6일 앞둔 시점에서 최대한 현장 동력을 모아내는데 주력할 방침이다. 노조 한 관계자는 "5개 발전소간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파업에 대한 결의는 높은 편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발전산업노조 조합원들은 지난번 한국전력노조 파업 철회, '3·21' 단체협정서 체결 등에 강력한 반발을 했었다. 이런 분위기는 결국 독자노조 설립 이후 '민영화 저지, 민주노총 가입 추진'을 주장한 이호동 위원장의 압도적인 당선으로 이어져 이번 임단협을 맞고 있다.

■ 발전노조 파업 파장 = 5개 발전회사가 담당하고 있는 전력생산 비중은 약 60%가 넘는 것으로 알려져 노조가 파업을 강행할 경우, 예측하기 힘든 파국을 맞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물론 노조는 파업을 하더라도 엔진를 끄는 극단적인 행동에 대해서는 '신중론'을 펴고 있다. 하지만 노조 파업으로 전력 공급이 차질을 빚게 될 경우 간부 중심인 비조합원들이 적극 나선다고 해도 운영이 미숙할 수밖에 없어 파행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노조 한 관계자는 "발전소 파업이 단 한번도 일어난 적이 없어 발전소를 잘 아는 노조도 상세한 예측은 힘들다"며 "때때로 고장은 있었지만 30여 개 발전소가 일제히 차질을 빚는 경우는 처음일 것"이라고 말했다.

노조는 "큰 파국을 피하기 위해서는 '공'을 쥐고 있는 정부와 회사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