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랜트건설 노동자들이 플랜트건설 현장에 안전사고가 우려된다며 외국인력 도입 논의 중단을 촉구했다.

건설산업연맹(위원장 이영철)은 18일 성명을 내고 “2017~2022년 국내 산업단지 64곳에서 산업재해와 화학사고, 화재·폭발사고 같은 중대사고 126건이 발생해 230명이 죽거나 다쳤다”며 “한 순간의 실수와 관리부실이 중대산업사고로 이어지는 플랜트건설 현장에 언어 소통이 어려운 비숙련 외국인력이 유입되면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산업단지공단 산단 연혁별 중대사고 현황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2년 2월까지 한국산업단지공단이 관리하는 산단 64곳에서 중대사고 126건이 발생해 102명이 사망하고 128명이 다쳤다.

연맹은 “반도체·2차 전지·바이오 첨단산업 위주로 변화하는 한국 경제에서 플랜트산업 비중은 커지고 있다”며 “플랜트건설 현장 사고는 플랜트 노동자뿐 아니라 지역 주민에게도 치명적 사고로 이어져 플랜트건설 현장의 안전은 수천 번을 강조해도 모자람이 없다”고 밝혔다.

이어 “이런 플랜트건설 현장이라 내국인도 까다로운 절차를 통해 취업하고 외국인력 도입을 금지했는데 윤석열 정부는 국가 중요보안시설인 플랜트건설 현장의 안전은 도외시한 채 현장 인력수급이 필요하다는 통계도 없이 업계 요구만 듣고 도입을 논의한다”고 비판했다.

연맹은 되레 산업계의 설비투자는 줄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동자 실직을 우려해야 하다는 것이다. 연맹은 한국산업은행 통계를 인용해 건설업 설비투자가 지난해 9조8천920억원에서 8조901억원으로 18.2%포인트 하락한다고 주장했다. 사실이라면 2016년 이후 가장 큰 투자 축소라는 설명이다.

연맹은 플랜트건설 노동자 가운데 만성 실업이 많아 인력수급이 부족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연맹은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 자료에 따르면 플랜트 설비업 종사자는 20만명”이라며 “올해 업계가 플랜트건설 노동자 수요를 14만4천600명이라고 주장하는데 5만명 이상이 실직상태라 인력이 부족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