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시민과 환경 전문가 모두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를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로 꼽았다. 다만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은 과거보다 소폭 하락했다.

10일 환경부는 이런 내용을 뼈대로 하는 환경보전에 관한 국민인식조사를 발표했다. 5년 주기로 이뤄지는 이 조사는 일반 시민과 환경 전문가를 대상으로 주요 환경정책과 환경 관련 의제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해 정책 기초로 삼는 통계다.

환경부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까지 일반 시민 1천501명과 학계·연구기관·기업·시민단체 등 환경 전문가 504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은 일반 시민 75.6%, 전문가 97.6%로 직전 조사인 2018년과 비교해 각각 3%포인트, 2.4%포인트 하락했다.

‘더워진 지구’ 인식, 2018년보다 높아져

일반 시민(93.7%)과 전문가(94.6%)는 모두 지구온난화·기후변화를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로 꼽았다. 직전 조사와는 다른 양상이다. 일반 시민은 2018년 조사에서도 지구온난화·기후변화를 첫손에 꼽았지만 비율은 85.1%로 차이가 났다. 전문가는 직전 조사에서 대기(97.1%) 문제를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로 인식했지만 이번에는 지구온난화·기후변화로 순위가 뒤바뀌었다. 환경부는 “언론 등을 통해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에 대한 내용이 꾸준히 제기돼 보다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일반 시민과 전문가는 모두 정부의 우선 개선 분야도 지구온난화·기후변화라고 응답했다. 일반 시민은 지구온난화·기후변화 31.6%, 자연환경 및 생태계 16.2%, 생활쓰레기 13.5% 순이다. 전문가는 지구온난화·기후변화 45%, 대기 14.3%, 물 11.5% 순으로 나타났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지구온난화·기후변화를 정부가 우선 개선해야 한다는 응답은 일반 시민 13.3%포인트, 전문가는 33.3%포인트 증가해 두드러졌다.

일반 시민과 전문가는 오염 유발 제품에 대한 부담금 부과 강화에도 찬성 비율이 높았다. 일반 시민은 정부의 환경보전을 위한 재원 조달 방법을 묻는 질문에 환경오염 유발 제품에 대한 부담금 강화(44.1%)를 첫손에 꼽았고 뒤이어 환경오염물질 배출기업에 과세(25.8%), 정부재정 내 환경예산 비중 확대(15.9%)로 응답했다.

환경보전 재원 대책, 부담금·기업 과세·국고지원

이와 달리 전문가는 정부의 재정지출을 더 요구했다. 전문가는 환경오염 유발 제품에 대한 부담금 부담 강화(28.6%), 정부 환경예산 비중 확대(27.8%), 환경오염물질 배출기업에 과세(27.2%)라고 순으로 응답했다.

탄소중립과 탄소중립 추진 전략에 대한 인지도는 일반 시민과 전문가 모두 높은 수준이다. 일반 시민 92.4%가 탄소중립에 대해, 86.9%는 정부의 탄소중립 추진 전략에 대해 들어봤다고 응답했다. 전문가는 각각 98.8%, 99%다. 다만 환경부는 “일반 시민은 탄소중립과 탄소중립 추진 전략에 대해 이름만 들어봤다는 비중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조사 결과 일반 시민과 전문가는 모두 시급한 기후변화 대응과제로 저탄소 대체에너지 개발과 보급을 꼽았는데 일반시민은 30.6%, 전문가는 38.5%였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