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고려한 경영활동을 할 때 노동 규범·기준을 자사뿐만 아니라 하청 등 공급망 전반에서 관리하도록 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노동문제는 특정 기업 한 곳만 노력한다고 해결할 수 있는 성질이 아니기 때문에 최소한 기업 공급망 차원에서 준비·관리해야 한다는 취지다.

한국노동사회연구소는 2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ESG 평가지표에서 노동의 중요성’ 이슈페이퍼를 발간했다.

ESG 평가에서 노동문제는 평가기관의 평가지표, 평가지표 밖의 논란사건(컨트로버시) 등을 종합해 평가된다. 자기 회사뿐만 아니라 같은 공급망 내의 다른 회사에서 발생하는 사건·문제의 영향도 받는다. 이를테면 SPC그룹의 경우 파리바게뜨에서 시작한 불매운동이 계열사 전반에 악영향을 미쳐 그룹 경영에 타격을 입었다. 네이버는 2021년 직장내 갑질 사망 사건의 영향으로 ESG 평가등급 하락을 경험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해외 주요 ESG 평가기관은 인권, 보건안전, 노동기준과 관행 등을 평가지표로 삼고 있다. 국내 평가기관의 노동 관련 지표는 주로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고용평등, 인권과 다양성 등의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ESG 평가에서 노동은 매우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고, 평가 측면에서도 매우 광범위하게 다뤄지고 있다. 환경 의제가 ESG 경영을 대표하는 것으로 비춰지는 것은 오해라는 의미다. 보고서를 작성한 송관철 연구위원은 “공급망과 관련된 영역에서 노동에 대한 사안이 함께 다뤄지고 있다는 점은 기업에 ESG 경영을 통해 양질의 노동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는 책무가 부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며 “앞으로 기업은 ESG 평가 지표에 나타난 노동 규범과 기준을 정확하게 이해·준수하고, 이를 자사뿐 아니라 공급망 관리 차원에서도 해야 한다는 점을 되새겨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윤석열 정부는 ESG 경영 확산에 대해 매우 소극적인 정책을 펴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ESG 공시 의무 대상인 자산 2조원 이상 기업 242개사를 상대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의견수렴과 관계부처 논의를 거쳐 ESG 공시기준 초안을 3월께 발표할 계획이다. 하지만 정부는 초 2025년부터 시행하려던 공시 의무화 일정을 2026년 이후로 연기한 상태다. 일정을 못 박지 않아서 상당 기간 공시가 미뤄질 수 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