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윤정 기자

노사가 함께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nvironmental·social·Governance, ESG) 이행 여부를 직접 점검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나와 눈길이 쏠린다.

산업정책연구원(원장 김영기)은 18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연구원에서 모두 20개 실천과제를 담은 ‘노사협력 ESG 실천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노사협력 ESG경영자 과정’을 운영하는 연구원은 참가자들이 직접 기업에 돌아가 ESG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연구작업을 거쳐 이번에 최종 완성본을 마련했다.

“노사협력으로 지속가능 사회 가능하다”

가이드라인은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K-ESG 가이드라인, ESG 모범규준, GRI(글로벌 보고 이니셔티브) 표준, ISO 30414(국제표준 HR 보고서 가이드) 등의 기준을 분석해 모두 20개의 실천과제를 도출했다. 노사가 기업현장에서 공동으로 관리·실행할 수 있는 과제를 생물다양성 보존 등 환경 분야 5개, 공정한 채용 등 사회 분야 12개, 윤리경영 등 지배구조 분야 3개로 구분했다.

과제별로는 레벨 1~5단계를 두어 실행수준을 자가점검할 수 있다. 가장 낮은 단계인 레벨1은 회사 차원의 인식부족·관리활동 부재, 레벨2는 회사 차원 인식은 있으나 관리활동 부재, 레벨3는 회사 차원의 기본관리 활동만 수행, 레벨4는 노조와의 정보공유 진행, 가장 높은 레벨5는 노사가 지속적으로 점검·개선의 내용을 담고 있다.

노동 관련 실천과제로는 사회 분야에서 △공정한 채용 △양질의 일자리 창출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관리 △일·생활균형 지원 △직원 인권보호 △노동 취약계층 보호 △사업장 안전보건 △국내외 노동기준 준수 △직원 교육훈련 △협력사 ESG 지원로 구성됐다. 지배구조 분야에서 △노동자 참여 △사회적 파트너십(사회적 대화 포함) 활성화로 요약된다.

예컨대 ‘공정한 채용’에서는 노사가 채용과정에서 장애인·경력단절여성 등 취약계층 고용확대와 공정·투명한 채용 프로세스 구축을 위해 공동 노력한다는 목표하에 현 수준에 대한 레벨 체크와 함께 GRI 등 공정한 채용지표를 모니터링·개선점을 함께 찾아내는 방식이다. 또한 노조가 자체 실행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김영기 원장은 “노사가 협력해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달성하면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이 있다”며 “이를 위해 노사가 함께할 수 있는 20개 핵심지표를 발굴했고 각 기업에서는 얼마든지 플러스·마이너스하면서 점검할 수 있다”고 밝혔다.

“노조의 사회적 책임, 생존 위한 전략과제”

이번 연구작업에 함께한 정흥준 서울과기대 교수(경영학)는 ‘노조의 ESG 참여와 과제’ 주제발표를 통해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임금격차 등 이중구조가 심각해 이를 완화하는 것이 사회적 과제가 됐다”며 “이중구조 완화를 위해 노조는 포용적 노조주의를 전략적으로 고민하고 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한 활동이 요구된다”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변화하는 시대 노조의 사회적 책임은 사회를 위한 ‘좋은 일’이 아니라 노조의 생존을 위한 전략 과제”라며 “사회적 정당성은 기업만이 아니라 노조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노조의 ESG 과제로 환경 분야에서는 산업전환과 정의로운 전환의 조화, 사회 분야에서는 임금과 노동조건을 넘어선 사회적 의제, 지배구조 분야에서는 노사 공동의 ESG 활동을 위한 시스템 마련을 제시했다. 특히 노사가 공동으로 기업 혹은 산별·업종별 ESG 위원회인 (가칭)ESG노사공동위원회를 구성해 ESG 활동을 점검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