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노조
▲ 금융노조

은행들이 홍콩H지수 연계 주가연계증권(ELS) 판매를 부추긴 사실이 드러났다. 특히 은행 핵심성과지표(KPI)에 고위험 ELS 상품 판매 실적을 비중 있게 반영한 점이 문제로 지목된다. 개별 은행노동자의 불완전 판매 의혹보다 은행권의 실적 경쟁, 금융당국의 예방 시스템 부재 등 구조적 원인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린다.

금융감독원은 8일부터 H지수 ELS 최대 판매사인 KB국민은행·한국투자증권을 시작으로 10개 주요 판매사(신한·하나·NH농협·SC제일은행, 미래에셋·삼성·KB·NH·키움·신한투자증권)에 대해 현장 검사를 실시한다고 7일 밝혔다.

은행권의 무리한 ELS 판매 확대 정책이 최근 금감원 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은행권은 2021년 초 홍콩증시 위기상황에서 자체 내규에 반해 고위험 ELS 판매 한도를 오히려 증액했다. 은행권 전체가 판매한 ELS 잔액 중 절반을 보유한 KB국민은행의 경우 H지수 변동성이 30%를 넘어설 경우 판매 한도의 50% 선에서 판매를 중단해야 했으나 주가연계신탁(ELT) 상품이 인기를 끌며 한도를 80%로 높였다.

직원 실적평가에 고위험 ELS 상품을 포함해 판매 확대를 유도하기도 했다. 금감원에 따르면 주요 은행들의 KPI에서 ELS나 ELT 관련 점수 비중은 30~40%에 달한다. 국민은행의 경우 41%를 차지했다. 아울러 ELS가 손실 구간에 있어도 고객이 중도환매하지 않으면 조기상환과 마찬가지로 수익률을 인정했다. ELS를 많이 팔도록, 중도환매하지 않도록 압박하는 구조다.

은행권이 2019년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이후 고객이익 보호 중심의 영업을 전제로 ELS 등 고난도 금융상품의 신탁 판매 허용을 요청했다는 점에서 금감원은 이번 사태를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다.

금융노동계는 H지수 ELS 사태 관련 정부와 경영진의 책임을 강조해 왔다. 상품 판매 일선의 은행노동자에게 비난의 화살이 쏟아지는 상황에서, 비이자 수익에 몰두해 무리하게 고위험 상품 판매를 확대한 경영진과 이를 손 놓고 바라본 금융당국이 사태 원인이라는 지적이다.

금융노조는 개별 은행노동자가 모든 책임을 떠안게 되는 상황을 막기 위해 ‘ELS 상품 직원 인권·고충상담 핫라인’(02-2095-0013, 0016)을 운영하고 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