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투데이
이미지투데이

결혼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2030 청년 비중이 급격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재해 사망자를 연령대 별로 살펴봤더니 5060 연령대에서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23’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여기는 20대 여성 비율은 27.5%였다. 20대 남성은 41.9%다.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거나, 하는 것이 좋다고 여기는 답변 비율을 조사한 결과다.

이런 수치는 14년 전인 2008년과 비교하면 남녀 각각 30%포인트, 25.4%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30대도 별반 다르지 않다. 2008년 당시 결혼에 대해 긍정적인 비율은 남성은 69.7%, 여성은 51.5%였다. 지난해에는 남성 48.7%, 여성 31.8%로 감소했다.

소수자에 대한 사회의 포용 정도는 여전히 낮다. 성소수자에 대해 ‘수용 못함’ 비율은 2013년 62.1%에서 지난해 55.9%로 소폭 줄어드는 데 그쳤다. 외국인 이민·노동자에 대한 수용 비율도 2016년 7.1%에서 지난해 10%로 조금 증가했다.

세대별 소득 변화를 살펴봤더니 2021년 기준으로 20대 이하 청년의 가구소득은 3천114만원으로 나타났다. 2018년(3천363만원)보다 7.4% 감소했다. 30대 이상 모든 연령대가 증가할 때 20대 이하에서만 뒷걸음질 쳤다.

20대 이하는 가구소득이 줄어드는 데 반해 빚은 가파르게 증가했다. 이들 연령대의 부채 보유액은 2018년 2천591만원에서 2021년 5천14만원으로 두 배(93.5%) 가까이 증가했다. 같은 기간 30대는 39.8%, 40대는 22.0%, 50대는 22.0%, 60대 이상은 12.4% 늘었다.

산재 사망자 수도 연령대별로 변화했다. 노동자 1만명당 사망자수를 의미하는 산재 사망만인율은 2001년 2.6명에서 지난해 1.1명으로 감소했다. 재해사망자를 연령별로 살펴봤더니 40대 이하에서는 감소하고, 50대 이상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0대 이하는 같은 기간 7.9%에서 2.0%로, 30대는 20.5%에서 5.7%로, 40대는 30.0%에서 16.6%로 비율이 줄었다. 반면 50대는 25.5%에서 26.8%로, 60대 이상은 16.0%에서 49.0%로 증가했다. 일하는 중장년층이 증가한 데 따른 결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