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퇴직연금개발원

퇴직연금 수령시 일시금이 아닌 연금으로 받는 것에 동의한다는 비율이 절반(46%) 가까이 됐지만 퇴직금 적립 규모를 키우기 위해 퇴직연금 해지나 중도인출 제한 등에는 29.9%가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퇴직연금개발원과 한국연금학회에서 8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퇴직연금 의무화, 고령화시대 해법이다’란 주제로 1차 퇴직연금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김성일 한국연금학회 박사는 퇴직연금제도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만 29~69세 국민연금·퇴직연금 동시가입자 1천명으로, 조사는 올해 4월3일부터 같은달 7일까지 이뤄졌다.

노동자 66.6%는 노후소득 보장을 위한 퇴직연금제도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동의율은 50대와 60대가 71.3%, 82.1%로 특히 높았다. ‘퇴직연금의 형태는 일시금이 아닌 연금으로 받겠다’에 46%가 동의했고, 23%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김성일 박사는 “은퇴 시점에 가까울수록 퇴직금의 연금화에 대한 필요성을 실감한 결과로 보인다”며 “연금화를 위한 적립금 부족을 후회하는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다”고 부연했다. 법정연금 수급연령 이전 퇴직연금 해지나 인출을 일부 제한하는 문제는 찬(34.4%) 반(29.9%)이 팽팽했다.

노동자 2명 중 1명(49.9%)은 퇴직연금 적립금 유지 장애요인으로 “적립금이 적어 유지를 통한 노후소득 보장의 실효성이 없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는데, 30대와 40대 응답이 각 51%, 53.8%로 높았다.

김 박사는 “30~40대는 퇴직연금 가입기간이 짧아 적립금 규모가 작고, 미래자금 수요 불확실성이 커 연금화에 따른 실효성에 충분히 공감하지 못하는 것”이라며 “수익률 제고와 연금수급의 장점을 뒷받침하는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