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금융안전 홈페이지 갈무리

은행권 문서송달 전문업체 한국금융안전㈜의 경영 악화로 노사가 연일 갈등을 겪고 있다. 노조는 최대주주이자 대표이사직을 수행 중인 김석 전 대표에게 책임이 있다고 지목했다. 반면 사측은 사실상 원청인 시중은행들이 용역비를 낮게 책정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30일 <매일노동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한국금융안전 우리사주조합은 지난 13일 서아무개 사내이사를 일시대표이사 직무대행으로 선임해달라고 법원에 청구했다. 김 전 대표 임기가 지난해 7월 끝난 이후 후임 대표가 선출되지 않아 현재 김 전 대표가 대표이사 직무대행을 하고 있다.

금융노조 한국금융안전지부(위원장 이동훈)는 김 전 대표가 경영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강조한다. 2019년 7월 김 전 대표 취임 이후 만성 적자에 시달렸다는 것이다. 2019년 7억2천200만원으로 시작한 한국금융안전 당기순손실은 지난해 40억5천100만원까지 늘어났다.

구조적인 문제도 있다. 한국금융안전은 시중은행들이 출자해서 설립한 곳이다. 최대주주인 김 전 대표(청호이지캐쉬 18.55%, 금융안전홀딩스 18.5%)에 이어 우리은행이 15%, 국민은행이 14.96%, 신한은행이 14.91%, 기업은행이 14.67%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동시에 시중은행들은 한국금융안전에 문서송달 같은 용역업무를 맡기는 원청이기도 하다. 사측 관계자는 “매출의 80%가 은행에서 나온다”며 “적자 원인은 은행과 거래에서 제값을 못 받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이를 인정하면서도 은행과의 신뢰를 깬 건 김 전 대표라고 반박했다. 이동훈 위원장은 “김 전 대표는 2021년 9월 위법한 신주 발행으로 본인 지배권을 확장하려다 주요 주주들의 법적 제재로 가로막혔다”며 “일부 은행에 예정가를 넘는 입찰가를 제시해 낙찰받지 못한 적도 있다”고 지적했다.

우리사주조합이 일시대표이사 직무대행 선임을 청구하자 사측은 다음달 대표이사 추천을 위한 주주협의회를 열겠다고 공고했다. 이 위원장은 “김 전 대표는 자신의 경영권을 유지하기 위해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할 것”이라며 “주요 은행들이 이에 장단을 맞춘다면 노조는 진정 마지막 선택을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사측 관계자는 “적자인 상황에서 차입보다 증자가 낫다고 판단해 신주발행을 선택한 것”이라며 “당시 일부 은행 입찰가가 턱없이 낮아 적자를 면하려면 예정가를 넘길 수밖에 없었다”고 해명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