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노조

하락세인 금융노조 은행권 조합원수를 끌어올리기 위해 다양한 금융업 노동자와 비정규직 등에 대한 조직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금융노조(위원장 박홍배)는 17일 오후 서울 중구 금융노조에서 ‘금융노조 발전방안 토론회- 조직혁신과 조직확대를 위한 제언’ 토론회를 진행했다. 금융노조는 올 초 정기대의원대회에서 산별조직 강화를 위한 조직확대 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의결했다.

2000년대 초반부터 90%대를 유지해 온 은행권 조합원 비중은 최근 5년 사이 빠르게 줄어드는 양상이다. 지난해 기준 금융노조 조합원 87%만 은행 소속이었다. 최근 비은행권 조합원 비중이 소폭 증가한 영향도 있지만 은행권 조합원수 감소 효과도 작동하면서 전체 조합원수는 유지되고 있다. 하익준 경제학 박사(전 금융노조 정책실장)는 “은행 지점·인력 감소 방향으로 비즈니스 모델이 변화했기 때문”이라고 원인을 진단했다.

시중은행 조직화가 핵심과제라는 목소리도 나왔다. 진창근 전국은행산업노조협의회 의장(한국씨티은행지부 위원장)은 “정부발 위기를 겪고 있는 국책은행과 달리 대형 시중은행지부는 역대급 실적 행진 등 안정적 영업으로 상당 기간 생존권투쟁이 일어날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며 “중소형지부과 비교하면 (대형 시중은행지부에서) 조직화의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진 의장은 “집행부 주도 임금·단체협상투쟁, 경영진 선임반대 투쟁 위주로 전개돼 지부 조합원의 투쟁 경험이 축소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금융노조의 전체 투쟁력 약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조혜경 금융경제연구소 소장은 “은행산업 고용은 다른 산업에 비해 규제정책 민감도가 매우 높아 방향 수립 과정부터 전략적 개입이 필수적”이라며 “이를 위해 노조 차원의 정책역량 강화와 더불어 노사정 협의제도를 복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은행권 인력감축을 막기 어려운 현실에서 비정규직을 비롯한 다양한 금융업 종사자 조직화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우상범 한국노총 중앙연구원 연구위원은 “금융노조의 활동은 조직화 모델보다 서비스 모델에 치중하는 경향이 있다”며 “높은 연봉, 괜찮은 노동조건 등 좋은 일자리에서 근무한다는 의식이 지배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2000년대 중반 비정규직 조직화 사업을 교훈 삼아 조직확대 전략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정식 국제사무직IT서비스노조 한국협의회(UNI-KLC) 사무총장은 “전통적 금융권은 점포폐쇄와 디지털라이제이션이 급속도로 이뤄지고 있다”며 “새 직업군으로 부상하는 빅데이터·AI 전문가를 포함한 디지털 노동자와 핀테크 노동자 흡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